[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바이오팜은 5일 올해 3분기 매출 1917억원, 영업이익 7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4%, 262.4%씩 늘어난 수치다.
호실적 배경에는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시장 내 가파른 성장세가 있다.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분기 대비 11.7%, 전년 동기 대비 51.9% 성장한 172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4595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을 뛰어넘었다.
SK바이오팜 측은 "전 분기 대비 기타 매출이 감소하고 판관비가 증가됐지만, 영업이익은 증가했다"며 "이익률이 높은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 증대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올해 엑스코프리의 처방 수 증가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크다. 이는 신규 처방 환자 수(NBRx) 콘테스트, 소비자 직접 광고(DTC), 처방 차수를 앞당기는 'Line of Therapy' 캠페인 등 마케팅 강화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및 연령 확대를 통한 시장 확장도 노리고 있다. 9월에는 연초 계획보다 빠르게 일차성 전신 강직-간대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하며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임상 세부 결과는 12월 열릴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처방 연령층 확대를 위한 소아 연령 확장 안전성 임상은 최근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 현탁액 제형(Oral suspension)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는 연내 제출할 계획이다.
3일에는 동아ST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세노바메이트의 NDA가 승인됐다. 지난해 말 이그니스 테라퓨틱스의 중국 NDA 제출에 이어, 9월 일본 파트너사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NDA를 제출했다.
이에 SK바이오팜 측은 "올해 말부터 내년에 걸쳐 한국∙중국∙일본 아시아 3국으로의 진출도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사는 안정적 수익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세컨드 프로덕트'의 도입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기술도입한 방사성의약품(RPT) 후보물질 'SKL35501'의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준비와 함께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의 추가 도입을 계획 중이다.
이 외에도 SK바이오팜은 신약의 발굴·개발·치료 전(全) 과정을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으로 연결하고, AI·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의사 및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의료∙헬스케어 분야 컨소시엄에 참여해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 달에는 중남미 대표 제약사인 유로파마 (Eurofarma)와 AI 기반 합작법인 멘티스 케어(Mentis Care)를 캐나다에 공식 출범해 뇌전증 환자 관리 플랫폼 및 웨어러블 기기 기반 디지털 치료 솔루션 개발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