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사청문회서 AI 역량 강화 3대 정책 방향 소개…국가 역량 결집·R&D투자 선순환·과학기술 인재 양성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사진=국회방송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AI 3대 강국 도약의 실현을 위해 AI 생태계 구축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국가 AI 대전환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LG AI연구원장 출신인 그는 "지금 세계는 첨단 과학기술과 AI가 열어가는 문명사적 대전환의 분기점에 놓여 있다"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기회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과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배 후보자가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과학기술 AI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소개하며, 첫 번째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역량 결집을 집중 추진을 약속했다.
배 후보자는 AI를 "모든 산업에 융합 가능한 게임체인저"라고 규정하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첨단 GPU 확보 등 AI 인프라를 조속히 구축하고 민간에서도 AI 인프라에 적극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민간 AI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책 마련, 지역 산업과의 AI 연계, 학습용 데이터 활성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지원 등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모든 국민이 단절 없이 AI에 접근하고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선택권과 주도권을 강화해 나가고, AI의 안전과 신뢰 기반을 조성해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 배 후보자는 R&D 투자 선순환 체계 복원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충분한 규모의 R&D 투자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 R&D 투자 체계를 혁신하겠다"며 이를 통해 "다양성과 예측 가능성이 존재하는 기초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원을 강화하고, 기초 과학 등 과학기술 분야에서 AI를 적극 도입하고 활용과 확산을 촉진하여 혁신적인 연구 성과 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인 양자와 바이오 등 분야에 대한 과감한 지원과 함께, 민간 전문가가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개방형 거버넌스도 구축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세 번째로 배 후보자는 "우리나라 인재가 단절 없이 성장하고, 해외 우수 인재가 국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생애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해외 우수 인재의 적극적 국내 유치와 더불어 국내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연구자의 처우 개선, 출연연 개혁 등 과학기술인 사기 진작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한편, 이날 인사청문회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인사청문회와 관련 없는 '최민희 독재 OUT'이라고 적힌 피켓을 붙여 여야 간 갈등이 벌어졌다. 결국 최민희 과방위원장이 산회를 선포해 청문회 시작이 다소 지연됐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