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 14일 국회 복지위와 간담회서 언급…與 "진심으로 사과하고 복귀하면 해법 나올 것"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서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전공의 간담회’가 열렸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사직 전공의들이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으로 피해를 입은 국민들을 향해 “마음이 무겁다”며 유감의 뜻을 표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전공의 간담회’ 인사말을 통해 “그간의 사태로 환자와 보호자들이 겪었을 불안함에 마음이 무겁다”며 “더 나은 의료라는 환자와 의료계의 공동 목표를 향한 고민과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전공의 복귀 움직임 속에서 환자단체 등을 중심으로 특혜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사직 전공의들이 우회적으로 유감의 뜻을 전한 것이다.
한 위원장은 “무자비한 폭격이 끝나고 주변을 둘러보니 자랑스런 대한민국 의료는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이다. 잘잘못을 따지는 걸 넘어 이제는 중증∙핵심의료를 재건해 나가겠다”며 수련환경 개선,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현장 법적 리스크 완화를 미래 의료를 위한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이어서 발언에 나선 여당 복지위 간사 이수진 의원은 사직 전공의들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 의원은 “의대생, 전공의도 지난 정부의 잘못으로 여러 힘든 일이 있었지만 이제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될 것”이라며 “여러 복잡한 전제 조건을 제시하기 보다는 피해를 겪은 국민들에게 우리 모두가 진심으로 사과하고 한 마음으로 복귀하겠단 모습을 보여준다면 국회, 정부도 분명히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전공의들과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언급했다.
박 위원장은 “앞서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언했다. 이 흐름이 이어져 전공의들도 조속히 복귀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으면 한다”며 “무엇보다 신뢰회복이 중요하다. 지난 갈등 상황에서 가장 큰 상처는 신뢰가 깨지고 대화가 단절됐다는 점이다. 그간 수차례 만나며 어느정도 신뢰가 복원됐고, 조금 더 공식 대화를 이어가며 신뢰 관계를 강화하고 소통의 폭을 넓혀가자”고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