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01.01 08:27최종 업데이트 19.01.01 21:45

제보

"평생 환자를 위해 헌신하신 故 임세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님을 추모합니다"

환자 흉기에 찔려 숨진 고인, 2016년 저서 '죽고싶은 사람은 없다' 남겨…가슴으로 쓴 희망

“지금이 내 인생 최악의 순간이라고 느낄 때가 있었다. 하지만 이제 나는 내가 삶을 지속하는 한 적어도 최악은 없다고 확신한다. 앞으로도 가끔 흔들리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만, 부러지지는 않겠다고, 보다 정확히는 스스로를 부러뜨리지는 않겠다고 다짐한다. 나의 삶이 바로 내 희망의 근거라고 믿기 때문이다.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다. 실제로 자살 생각 나아가 자살 시도를 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진짜 죽음을 원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죽음이야말로 고통을 없애주는 가장 좋은 대안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에, 즉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날 방법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이다. 결코 죽음 그 자체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 중에서)

 
진료실에서 상담을 하던 중 환자에게 흉기에 수차례 찔려 12월 31일 숨진 고인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16년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라는 저서를 남겼다. 이 책은 크고 작은 심리적 위기 상황을 맞으며 고단한 하루하루를 견뎌 내는 사람들에게 임 교수의 솔직한 경험담과 다양한 환자들의 사례를 소개했다.
 
출판사의 책 소개에 따르면, 임 교수는 책을 통해 왜 삶이 계속돼야 하는지, 마음의 고통을 덜어내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차분하게 들려줬다.
 
임 교수는 수년 전부터 시작된 고통스러운 만성 통증에 시달리면서 여기에 수반되는 힘겨운 우울 증상을 경험했다. 그러면서 평소 환자들이 말하는 ‘마음의 병’에 대해 가슴으로 보다 깊게 이해하게 됐다. 

임 교수는 만성 통증을 이겨내기 위해 의사의 권고대로 절대 안정을 취해 보기도 하고 수술도 했다. 운동 치료, 카이로프랙틱 치료, 명상 등도 시도했고 심지어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을 알면서도 한방 치료를 해보기도 했다. 의대 시절 열렬한 무신론자였음에도 성당에 나가 세례를 받고 열심히 기도도 했다. 그러나 그 어떤 것도 효과가 지속적이지 않았다. 

“선생님은 이 병을 몰라요.”
“아뇨, 저도 이제 그 병 잘 알아요.”
 
임 교수는 생전에 우울증 환자들로부터 “선생님은 이 병을 몰라요”라는 말이 그렇게 듣기 싫었다고 했다. 임 교수는 책에서 “전문의가 되고 나서도 10년 이상이 지난 후에야 자신이 틀리고 환자들이 맞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것도 많은 환자들을 만나 임상 경험이 쌓여서가 아니라, 스스로가 우울증으로 상당 기간 고통을 받고 나서였다”라고 했다.

임 교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이 나아질 것이란 희망이 점차 사그라들어가는 것을 느꼈고, 우울해지기 시작했다”라며 “그제야 환자들이 했던 말의 의미를 뼛속 깊이 깨달을 수 있었다. 우울증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의 실체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다"고 했다. 
 
점점 더 불안해지고 우울해지던 임 교수는 끔찍한 생각도 해봤다. 하지만 다행히 자동차 열쇠가 눈에 띄지 않아 여기저기를 뒤지다가 엄마와 함께 잠든 아이들을 보게 됐다. 자살을 하려던 생각을 포기했다. 
 
임 교수는 “사막을 건너는 데 필요한 건 한 병의 물이 아닌 한 줌의 희망이다. 뜻하지 않은 불운이 덮쳤을 때 우리는 이렇게 절규하지만, 불행에는 이유가 없다. 그럼에도 ‘왜’에 집착하다 보면, 단 한 발짝도 나아갈 수가 없다. 아프지만 이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희망의 근거를 찾는 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신념’ ‘현실 직시’ ‘인내심’ ‘지금 그리고 여기’의 네 가지 요소를 제시했다. 임 교수 스스로 절망 끝에 길어올린 깨달음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거니와 20여 년간 마음이 아픈 사람들을 치료해 오며 느낀 것이라고 했다.
 
평생에 걸쳐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정작 그는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한편, 임 교수는 1996년 고대의대를 졸업하고 고대안암병원에서 임상조교수를 역임했다가 2006년 강북삼성병원으로 옮겼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의 캘리포니아대학의 방문 교수로 연수를 다녀왔다. 사고가 일어나기 전까지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부소장과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임 교수는 현재까지 주로 우울증과 불안장애와 관련된 100여 편의 학술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관련 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해왔다. 대한불안의학회 학술지 ‘ANXIETY AND MOOD’의 편집위원장이기도 했다. 
 
그는 직장인들의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한국자살예방협회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위원회장으로서 보건복지부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후원으로 전국에 보급 중인 한국형표준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 ‘보고듣고말하기’의 개발자로 활동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