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01.22 10:01최종 업데이트 21.01.22 10:01

제보

종근당 글리아티린, 출시 5주년 온라인 심포지엄 개최

아멘타 교수 장기임상 분석 결과, 뇌 위축과 신경세포 손실 지연에 효과

종근당은 22일 뇌기능개선제 '종근당 글리아티린' 출시 5주년을 맞아 웹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선 종근당 글리아티린의 대표적인 임상 연구인 아스코말바(ASCOMALVA) 연구를 주도한 이탈리아 카멜리노대학 아멘타(Amenta) 교수가 '인기기능저하 환자의 치료관리(Therapeutic management of cognitive dysfunctions)'라는 주제로 아스코말바의 중간 분석 결과와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결과 등을 소개했다.

아스코말바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도네페질과 종근당 글리아티린의 주성분인 콜린 알포세레이트 병용투여에 따른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012년부터 4년간 진행된 임상시험이다. 
 
 그림1 = 도네페질 단독투여군과 도네페질-콜린 알포세레이트 병용투여군의 뇌 해마 축소 비교.

아멘타 교수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뇌혈관 장애와 뇌손상을 가진 쥐 모델의 신경세포 손실을 늦췄으며, 콜린 알포세레이트와 도네페질의 병용요법이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 특징인 뇌 위축을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탈리아에서 1년간 진행된 공개연구(Open Label)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과의 병용요법도 도네페질 병용요법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멘타 교수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연구들을 통해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우수성과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면서 "종근당 글리아티린이 알츠하이머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종근당 관계자는 "지난 5년간 글리아티린은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왔다"면서 "지속적인 임상과 연구를 통해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