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1.11 06:01

구체화되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민간공항 이전 사전타당성 검토 착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감도 (제공=경북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대구 군공항에 이어 민간공항도 이전 계획 수립이 가시화 단계에 들어섰다.
국토교통부는 12일부터 대구국제공항 이전을 위한 '대구공항 민간공항 이전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에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대구국제공항은 군공항인 대구공군기지와 함께 대구 동구에 위치해 있다. 이 중 공군기지는 오는 2028년 개항을 목표로 경북 의성군 비안면과 군위군 소보면에 이전하는 계획이 지난 8월 확정된 상태다. 이번 용역은 민간공항 역시 동일 부지에 함께 이전해 15.3㎢ 부지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짓는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용역은 아주대-유신 컨소시엄이 맡아 1년 간 시행할 예정이다. 대구공항의 장래 항공수요 예측을 토대로 현 대구공항의 운영 및 이용객 특성을 조사해 비용 대비 편익(B/C) 분석을 포함해 이전 부지 내 민간공항 시설의 최적 입지와 규모를 산정하고 이용객들의 원활한 공항 접근을 위한 교통시설 계획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항 이전에 따른 직·간접적 파급효과(부가가치, 생산유발, 취업유발 등)와 소음감소 효과 등도 분석할 계획이다. 또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공항을 통한 전염병 확산 가능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만큼 여행객의 동선분리를 고려한 시설배치 계획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는 통합신공항 이전이 민간공항과 군공항이 각각 다른 주체와 방식으로 추진되는 만큼 군공항 이전계획과 상충되지 않도록 올해 중 대구시에서 착수 예정 중인 군공항 이전계획 '대구 통합신공항 기본계획수립 용역'과 연계해 계획을 검토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국토부를 주축으로 해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와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태병 국토부 공항항행정책관은 “이번 사전타당성 검토는 민간공항의 이전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으로 이용객의 편의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도 중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