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1.08 12:17

"마지막 기회"…공공재개발 두고 60곳 경쟁 돌입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정부가 서울 도심 주택공급 방안으로 내놓은 공공재개발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용적률 상향,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 파격적 혜택이 제시되면서 시범사업 공모에 약 60곳이 신청했다. 낮은 수익성,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재개발에 가로막혔던 지역 주민들은 "공공재개발이 마지막 기회"라는 입장이다.
8일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공모에 60곳 안팎의 사업지가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모 마감일에 신청이 몰리면서 당초 예상했던 30~40곳을 훨씬 뛰어넘었다.
기존 정비구역뿐 아니라 정비예정구역, 정비해제구역이 공공재개발 대상에 포함되면서 예상밖 흥행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정부가 공모 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도시재생지역까지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곳의 참여가 많았다. 성북구에서만 장위8·9·11·12구역과 성북5구역, 삼선3구역 등 6곳이 신청했다. 용산구에서는 한남1구역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최대 알짜'로 꼽히는 한남1구역은 2011년 재개발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았다가 주민 간 갈등으로 2017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돼 한남뉴타운에서 유일하게 사업이 무산된 곳이다. 당초 두 개의 사업 주체가 공공재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나섰지만 최근 사업추진주체를 단일화하면서 사업 성사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 공공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이다. 공공재개발 참여 시 용적률 상향, 인허가 절차 간소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 파격적 인센티브가 주어짐에 따라 60곳 안팎의 신청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공공재개발을 통해 2023년까지 2만 가구 이상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공공재개발 공모 신청지 중 구역지정 요건, 주거정비지수 등 각 구청의 검토를 통과한 곳만이 서울시에 추천된다. 이후 LH와 SH의 개략계획 및 사업지 분석이 이뤄지며 관계부서 협의를 거쳐 선정위원회에 상정된다. 후보지 선정 및 통보은 기존 구역은 이르면 다음달, 신규 구역은 이르면 내년 3월에 이뤄질 예정이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