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4일 공모가 마감되는 정부의 '공공재개발' 시범사업에 40곳 안팎의 사업지가 몰릴 것으로 보인다. 용적률 상향,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 파격적 혜택이 제시되면서 그동안 정비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던 노후 주택가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사업 참여 의지를 보이고 있어서다. 특히 서울주택도시공사(SH)의 서울형 공공재개발 '천호1구역' 성공 사례가 입소문을 타면서 해제구역들의 신청이 줄을 잇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예상 밖 흥행…40여곳 몰릴듯= 4일 서울시ㆍ정비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공공재개발 시범사업지 공모 마감을 앞두고 서대문구 연희2동이 추가 접수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총 700가구 규모의 연희2동은 구릉지에 노후주택이 밀집해있으나 2015년 주택재건축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이다. 연희동 주민추진단 관계자는 "연희동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는 단독주택가로 유명하지만 바로 옆은 50년 된 재래식을 화장실을 사용할 만큼 노후화했다"면서 "주민 동의율이 40%에 이를만큼 공공재개발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양천구 신월7동, 성북구 장위12구역도 공모마감을 앞두고 추가로 신청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현재 공공재개발 시범사업에 신청서를 정식으로 접수한 곳은 용산구 한남1구역, 성북구 장위9구역, 동작구 흑석2구역 등 10여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일까지 총 31곳이 참여 사전의향서를 제출한 만큼 최종 신청 건수는 40곳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미 신청을 위한 주민동의율 10%를 넘겼지만 막판까지 수치를 올려 신청서를 내려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SH공사 성공사례 입소문이 흥행 일등공신= 공공재개발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 공공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이다. 용적률 상향, 인허가 절차 간소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정부 발표 직후만 해도 공공재개발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임대주택 증가에 대한 부담, 품질 저하, 사업성 악화에 대한 우려 탓이다.
분위기가 확 바뀐 것은 SH공사의 적극적인 홍보와 강동구 천호1구역의 '서울형 공공재개발' 성공이 입소문을 타면서다 .천호1구역은 공공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이 진행되지는 않았으나, 조합의 요청으로 SH공사가 공동시행자로 참여한 케이스다. 시공은 민간 건설사인 중흥토건이 맡았다. 사업진행방식이 공공재개발과 매우 유사하다.
이 구역은 2003년 뉴타운지구로 지정된 이후 각종 이권다툼, 낮은 사업성 등으로 2015년 사업시행인가를 받기까지 무려 12년이 걸렸다. 하지만 2016년 SH공사가 공동시행자로 참여하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탔다. 2017년 시공사계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관리처분계획인가까지 받았다. 이 구역은 올해 이주와 일반분양까지 마무리한 후 9월 착공에 들어갔다. 김종광 천호1구역 조합장은 "SH공사가 공동 참여하면서 시공사와 조합 간 갑과 을의 구도를 깰 수 있었다"며 "합리적인 가격 설정으로 사업비를 절감했을 뿐 아니라 조합이 자체적으로 할 수 없는 공사관리, 설계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SH공사 관계자는 "천호1구역의 성공 노하우를 향후 진행할 공공재개발 대상지에 적극 활용해 사업 성공에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공공재개발 성공을 위해서는 관련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SH공사는 최근 공공재개발ㆍ공공재건축 추진을 전담하기 위한 199명의 인력 확충과 직제 개편을 추진하고 있지만 서울시가 서정협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바뀌면서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SH공사 관계자는 "서울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서는 신규 인력 확보가 절실하다"면서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까지 공공재개발 업무를 멈출 수 없다"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