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0.08 15:29

'13대 화재' 현대차 코나 EV, 결국 리콜 돌입

대구 달성군 유가읍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코나 EV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로 해당 차량은 전소됐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제공=대구소방안전본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무려 13대의 차량 화재가 발생한 현대차의 코나 EV(전기차)가 제작결함에 따른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8일 국토교통부는 현대차에서 제작 판매한 코나 EV에 대한 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대상 차량은 2017년 9월29일부터 지난 3월13일까지 제작된 차량 2만5564대다. 오는 16일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점검 후 배터리 교체 조치가 이뤄진다.
업계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이날 현재까지 발생한 코나 EV 관련 화재 사고는 총 13건(해외 4건)이다. 특히 최근 연달아 화재가 발생하는 가운데 충전 후 케이블 연결 상태에서 불이 나거나 충전이 완료된 후 주차된 상태에서 갑작스레 화재가 발생하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차량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상태다.

코나 EV (제공=현대차)



코나 EV는 출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내수 2만8919대, 해외 7만7748대 등 총 10만6667대가 팔린 현대차의 전기차 주력 모델이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 9월까지 국내에서만 7061대가 팔렸다.
현대차가 파악한 잇따른 화재의 원인은 "차량 충전 완료 후,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다. 제조 공정상 품질 불량으로 인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되는 제조 불량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현대차는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이 결함 조사 과정에서 검토한 다양한 원인 중 유력하게 추정한 화재 원인으로 꼽힌 원인을 시정하기 위한 선제적 리콜에 들어간다.
리콜 시에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 한 후 점검을 실시해 과도한 셀 간 전압 편차, 급격한 온도 변화 등 배터리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배터리를 즉시 교체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만약 이상이 없더라도 업데이트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의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 이상 변화가 감지되면 충전중지와 함께 시동이 걸리지 않게 제한하는 한편 경고 메세지를 차주와 현대차 긴급출동서비스 콜센터에 자동 전달하는 기능을 추가해 화재 발생 가능성은 최소화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토부와 KATRI는 이번 리콜과 별개로 화재 재현시험 등 현재 진행중인 결함조사를 통해 제작사가 제시한 결함 원인과 리콜계획의 적정성을 검증해 필요 시 보완 조치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번 리콜 조치를 통해 전기차 생산이나 보급에 지장이 없도록 전기차의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리콜 대상 차량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메시지를 통해 시정방법 등을 알릴 예정이다. 만약 리콜 전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