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세종=손선희 기자]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08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인 4.8% 치솟았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데다 전기요금 인상, 글로벌 공급망 차질, 수요 회복 등이 맞물린 결과다. 당분간 이와 같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100 기준)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4.8% 올랐다. 2008년 10월(4.8%) 이후 13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0~1%대를 오갔던 물가 상승률이 4월 들어 2%대에 진입했던 만큼 ‘역기저 효과’가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왔지만 오히려 지난달(4.1%)보다 상승폭이 0.7%포인트나 확대됐다.
소비자물가지수가 현 수준을 연말까지 그대로 유지한다 하더라도 연간 상승률은 3.9% 수준이 될 것으로 통계청은 추산했다. 사실상 ‘연간 4%대 돌파’가 확실시된다는 뜻이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연간 물가상승률을 4.0%로 전망했다.

40년 만에 닥친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미국도 가파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존 0.25~0.5%인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앨런 그린스펀 의장 재임 당시인 지난 2000년 5월 이후 22년만의 최대 인상 폭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0.75~1.0% 수준이 됐다.
한국은행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오는 26일 이주열 신임 총재가 첫 주재하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지난 1월과 4월 두 차례 금리인상을 했던 만큼 이번 금통위에서는 이른바 '숨 고르기'를 할 것이란 전망이 당초 나왔으나, 최근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 기조가 강해지면서 기류가 급변했다.
최근 심상치 않은 외환시장 움직임도 변수다. 미국의 가파른 긴축에 대한 경계감과 중국 봉쇄에 따른 경기둔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1200원대 후반까지 올라 1300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다음 주 출범을 앞둔 새 정부 경제팀 역시 '물가'는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취임을 앞두고 있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청문 과정에서 "당분간 (물가) 상방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에게 주어진 가장 시급한 현안 과제로 '물가 안정'을 꼽았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