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5.06 10:14

[단독]尹, 내달 부산서 ‘부산엑스포 회의’ 주재…직접 유치전략 발표할듯




[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윤석열 당선인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본격화하기 위해 다음달 부산에서 유치전략회의를 주재할 전망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윤 당선인이 부산에서 직접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전략을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나섰다. 일부 경쟁국이 적극적으로 유치전을 펼치고 있는 만큼 차기 정부도 유치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표명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인수위는 다음달 부산에서 대통령 주재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부산세계박람회가 차기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된 만큼 윤 당선인이 직접 유치 지원 전략을 발표한 후 유치전을 본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유치전략회의 개최시 대통령을 비롯해 부산세계박람회 민간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도 참석한다. 인수위 관계자는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정부 지원이 미흡했던 측면이 있다”면서 “(유치전략회의는) 새 정부의 유치 의지를 국내외에 적극 표명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경제효과 61兆 전망
세계박람회는 국제박람회기구(BIE) 공인행사로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국제행사로 꼽힌다. 세계박람회 유치에 따른 경제 및 고용 창출 효과는 각각 61조원, 50만명 규모로 추산된다. 2030 세계박람회 유치 신청국은 한국 부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러시아 모스크바, 우크라이나 오데사 등 5개국이다.
인수위는 차기 정부 출범과 함께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당장 내년 말이면 2030 세계박람회 유치국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BIE는 내년 11월 170개 회원국 투표를 거쳐 2030 세계박람회 유치국을 선정한다. 경쟁국을 제외한 165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유치전을 펼칠 시간이 약 1년 6개월 남짓 남은 셈이다. 세계박람회 유치전이 대통령까지 나서는 국가대항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넉넉한 시간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사우디와 양강 구도
사우디는 인수위가 윤 당선인 취임 직후부터 유치전을 본격화하려는 배경 중 하나다. 사우디는 한국과 2030 세계박람회 유치를 경쟁 중인 4개국 중 유일한 경쟁국으로 꼽힌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러시아(모스크바)와 우크라이나(오데사)의 유치전이 지지부진해진 데다 이탈리아(로마)는 비교적 최근인 2015년 밀라노에서 세계박람회를 개최했기 때문이다. 이에 국왕까지 나서 유치 의지를 밝힌 사우디는 오일머니로 '총력전'을 펼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는 새 정부 출범에 앞서 유치 전략도 구체화하고 있다. 우선 인수위는 중점 교섭국가를 중심으로 유치전을 펼칠 방침이다. 앞서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BIE 회원국의 지지 성향 등을 파악해 베트남, 필리핀, 브라질 등 39개국을 중점 교섭국가로 선정했다.
재계도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힘을 싣고 있다. 앞서 인수위는 지난 4일 경제계 중심의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를 신설하고 최 회장이 위원장을 맡는다고 밝혔다. 10대 그룹은 정부 직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정부 유치위원회’ 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