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나예은 기자] 지난 3월 기준 전국 기초자치단체 절반이 소멸할 위험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 29일 지방소멸을 특집으로 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봄호를 통해 지난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지역 간 산업 구조에 따른 양극화, 지방소멸과 이에 따른 지역의 대안적 일자리 전략의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자료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113곳(49.6%)이 '소멸위험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역은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말한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통계청의 주민등록연앙인구 자료와 월별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대비 2022년 3월 신규소멸위험에 진입한 기초지자체는 11곳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쇠퇴 지역(통영시, 군산시 등) 및 수도권 외곽(포천시, 동두천시)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이 연구위원은 "비수도권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구성하는 지역 제조업이 2010년대부터 쇠퇴하고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면서 청년 인구 유출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또 이런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일자리 정책 목표의 명확화 △지역 인재 유출 방지 △공간 기반 정책 및 인적 기반 정책의 조화 △지역 고용 취약계층 보호 △지역 맞춤형 고용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용정보원은 "소멸위험지역과 저위험지역 간 일자리 질적 격차가 존재하며 고위험지역에서 저위험지역으로 노동력이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산업과 고용'은 고용정보원 홈페이지(www.keis.or.kr)에서 볼 수 있다.
나예은 기자 nye87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