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4.29 12:39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우리은행 횡령사고, 회계법인 감리착수 검토"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 금융감독원이 우리은행에서 벌어진 600억원대 횡령사태와 관련해 회계법인의 감리착수 여부를 검토한다.
29일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에서 외국계 은행장과의 간담회를 진행한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불거진 우리은행 횡령사고에 대해 "왜 외부감사를 하면서 (횡령 사실을) 놓쳤을까에 대한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회계법인의 감리착수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는 “당연히 검토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감리란 금감원이 특정회사의 사업보고서, 재무제표, 감사보고서 등에 대해 회계처리·감사기준을 지켰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위반 사항이 발견된 경우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제재를 내린다. 우리은행이 횡령이 벌어지는 와중에도 회계감사에서 적정의견을 받은 만큼 책임론이 회계법인으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정은보 금감원장은 “기본적으로 회계법인은 감사를 하면서 시재가 확실히 존재하고 재고자산으로 있는지 등을 꼭 확인해야 한다”면서 “어떤 연유 때문에 조사가 잘 안 됐는지를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부통제 제도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은 해당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는지 등을 우선적으로 봐야 하고 그렇게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횡령 기간 금융당국의 검사와 감독이 이뤄졌음에도 밝혀내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검사와 감독으로 밝혀지는 게 훨씬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횡령이) 왜 감독을 통해서 밝혀지지 못했느냐 하는 부분도 조사하겠다”고 언급했다.
우리은행에서 진행 중인 수시검사에 대해서 정 원장은 “금융당국이 해야 할 일은 형사사건에 대한 처벌 문제보다는 내부통제에 있어서 어떠한 허점들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느냐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조사해야 한다”며 “기본적으로는 내부통제와 관련된 제도 개선사항에 대해서 적극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우리은행 본점의 기업개선부에서 차장급 직원이 600억원의 자금을 6년간 빼돌린 사실이 밝혀졌다. 이 자금은 과거 우리은행이 매각을 주관했던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 자금의 일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직원은 경찰에 자수한 상태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