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4.28 11:30

尹정부, 곡물 특화 비축기지 만든다…'식량안보' 방점




[아시아경제 세종=김혜원 기자] 새 정부가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과 콩 식량 자급률 목표치를 새롭게 제시하고 식량안보 차원에서 적극적인 농정 지원에 나선다. 저장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밀 등 일부 곡물은 국내에 전용 비축 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28일 관계 부처와 업계에 따르면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현재 0.8%에 불과한 밀 식량 자급률을 2027년 7%로 높이고 곡물 전용 비축 기지를 신규 설치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식량안보 강화 계획을 국정과제에 담을 예정이다. 윤석열 정부 기한(2022~2027년) 내 보다 구체적인 식량안보 정책을 수립한 것이다.



새 정부 식량안보 정책 방향성은 국내 밀·콩 자급률 제고와 민간의 해외 곡물 공급망 확보 등 크게 두 가지로, 결은 이전 정권과 비슷하다. 그동안 정부는 밀 산업 육성법 제정(2020년 2월)과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2020년 11월) 수립 등을 통해 자급률 제고 기반을 닦았으나 수입산과의 가격 경쟁력 격차가 심해 농가가 재배를 꺼리는 현실의 벽을 넘지 못했다. 윤석열 정부는 식량안보 측면에 정책 집행의 우선순위를 두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강한 기조로 알려졌다.
해외 공급망 대응을 위해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민간 모델을 활용할 방침이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곡물 터미널을 운영 중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북미와 남미권에서 현지 기업 지분 투자 등 방식의 물량 확보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비상 시 국내 곡물 반입 명령 이행으로 인한 사업자 손실 보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후속 지원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는 늘어나는데 자급률이 낮은 밀과 콩을 중심으로 한 식량안보 강화 중장기 계획을 연내 수립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세종=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