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산업계에 부는 전방위적인 임금인상 기조로 금리인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IT업계가 촉발한 임금인상 분위기가 산업 전반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경제 전문가들은 임금 요인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의 주요 변수로 떠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오미크론 여파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상황에서 임금인상이 트리거가 된 물가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경우 금리인상 카드를 쓸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상승이 임금인상으로 이어져 다시 물가상승을 자극하는 구조가 이미 미국서는 본격화되고 있다"면서 "국내도 임금이 올라가면서 추가적으로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물가상승에 따른 임금인상이 일부 불가피하더라도 성과와 관계없는 줄인상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금인상과 물가상승이 번갈아 나타나는 악순환 지속시 경제 전체 안정성을 크게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개별 기업이 잘하는 부분에 대해서 성과보상을 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제는 성과가 좋지 않은 일반 기업까지 파급효과가 미치면서 전반적인 임금인상 분위기로 가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산업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의 경우 IT산업 비중이 높은데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이들 기업의 실적이 좋으면서 대규모 성과급을 지급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여타 산업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물가안정을 최종적으로 책임지는 통화당국에도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
강 교수는 "미국의 경우 물가·임금간 상호작용을 우려해 빅스텝을 기정사실화 한 데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경기침체가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임금 상승을 통제할 수 없는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금리인상 수단을 통해 대응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남미 국가의 경우 물가·임금 간 악순환에 경제 위기가 더욱 심화됐다"면서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풀린 상황에서 임금·물가 간 상호작용이 더 커지면서 향후 금융통화위원회 금리인상의 재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