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4.07 07:00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에…떨고 있는 편의점주들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저희만 그런 게 아니라 여기저기 다 난리예요. 최저임금이 너무 올라서 인건비를 줄이려면 가족들이 매장에 안 나올 수가 없어요.”
6일 오후 서울 송파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씨는 “임대료와 인건비 지출이 점포 수익률에 있어 가장 큰 부분”이라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익이 많이 떨어져서 지금도 최소한의 아르바이트생만 고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도 최저임금에 대한 심의가 시작된 가운데 편의점주들은 또다시 인건비가 오를까봐 노심초사하고 있다. 현장에선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자칫하면 폐업까지 몰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편의점은 통상 24시간 매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에 가장 민감한 업종이다.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한 곳을 운영하는 생계형 자영업자 비중은 약 70%에 달한다.
매년 편의점에서 소비자들이 지출하는 금액은 늘고 있지만 점포당 매출은 제자리걸음이다. 이는 편의점 간 경쟁이 치열해졌고, 임대료·인건비 등 비용까지 상승한 탓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편의점에서의 1인당 구매 단가는 2017년 5544원에서 2021년 7001원으로 26.3% 증가했다. 반면 점포당 매출액은 2017년 4850만원에서 4863만3000원으로 0.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번 최저임금 논의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업종별·지역별 차등 적용이다. 현재 미국, 캐나다, 일본, 벨기에,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는 최저임금 차등 제도를 시행중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후보 시절 최저임금에 대해 “업종별·지역별 차등 적용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시작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이 최저임금 차등화를 주장해온 만큼 업계에서는 기대감이 높은 상태다. 그러나 최저임금 차등 제도 설계가 쉽지 않은데다 사회적 합의도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힘든 상황에서 이번에도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점주들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라며 “최저임금 업종별·지역별 차등 적용은 어떻게 제도가 설계될지 지켜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