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4.05 00:24

IPCC "기온상승 1.5도 제한 위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43% 줄여야"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평균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선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대비 43% 감축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없을 경우 2100년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후 대비 3.2도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4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6차 평가보고서 제3실무그룹 보고서'를 승인했다. IPCC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등 국제 기후변화 협상의 주요 근거자료이자, 전지구적 이행점검의 투입자료로 활용될 예정인 신뢰성 높은 보고서다. 지난 2014년 5차 보고서 이후 8년 만에 나왔다.상승폭 1.5이하 유지하려면 2030년 배출량 43% 감축해야보고서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2도 이하' 목표 달성을 위해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대비 27% 감축해야 하고, 상승폭을 '1.5 이하'로 유지하려면 2030년 배출량을 43%, 2050년엔 84% 줄여야 한다고 분석했다.
기후위기가 심각한 수준이지만 전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봤다.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를 1.5~2도로 제한한다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5년 안에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0∼2019년 전 지구 순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 총량은 계속 증가했다. 산업화 이후(1850∼2019년) 배출된 총 이산화탄소의 17%가 이 기간에 배출됐다.
현재까지 시행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 2100년 지구 온도는 3.2도 증가한다. 지난해 11월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이전까지 제출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도 21세기 내에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유지하는 건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수요 대응만으로 배출량 최대 70% 감축가능IPCC는 이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와 산업, 도시, AFOLU(농업·임업·기타 토지 이용 분야), CO2 제거(CDR), 수송 등 부문에서 시행 가능한 기후위기 완화 방안에 대해서 제안했다.
채식과 음식물쓰레기 감소, 반응형 냉난방, 전기차, 걷기, 자전거, 공유차량, 대중교통 활용 등 수요 측면 대응만으로도 기존 공급 변화 없이 2050년까지 전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을 40∼70% 줄일 수 있다고 IPCC의 분석했다. 이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일인당 배출량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차등적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IPCC는 203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 또는 2도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기후위기 완화 부문 투자 수준을 지금보다 최대 3~6배 늘려야 한다고 봤다.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에 대해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을 1∼10%까지 감축할 수 있는 수단이라 평가했다.
이번에 보고서는 이전에 승인된 제1·2실무그룹 보고서, ‘1.5도 지구온난화’ 특별보고서 등과 함께 오는 9월 개최 예정인 IPCC 제57차 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인 종합보고서에 반영될 방침이다. 이 자료는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내년 내년 '파리협정 이행점검' 등 국제적 논의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방침이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