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1.04 13:00

"급급매 아니면 거래 안돼"…'영끌' 사라진 부동산 시장



높은 집값과 강화된 대출규제에 주택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전국적으로 ‘거래절벽’이 심화되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은 1년 사이 주택 매매거래량이 30% 이상 준 가운데 지방은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 거래 침체가 상대적으로 수요가 취약한 지방 등 외곽에서 더 급격하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대출 규제 여파로 본격화한 거래 단절은 새해들어 더욱 심각해지면서 일선 공인중개사들과 매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급급매 아니면 거래 안돼"…꽁꽁 언 시장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등 수도권은 물론 지방 주요 지역까지 금융위기 시절에 육박하는 극심한 거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주택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1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6만7159건으로 1년 전에 비해 42.5% 감소했다. 지난 5년간 평균 거래량과 비교해도 25.7% 줄었다.
최근 몇년 사이 집값이 과도하게 오른 상태에서 대출규제로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된데다 집값 하락 전망이 확산하면서 거래가 얼어붙은 것으로 해석된다. 울산의 A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울산 시내에서는 급급매 아니면 거래 자체가 안되는 상황"이라며 "뚜렷한 호재는 없으니 거래절벽이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일선 중개업계는 매매는 물론 전세 거래마저 급격히 줄면서 수입이 급감하고 있다는 하소연을 쏟아내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만1141건으로 전년 대비 54.1% 줄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거래량 감소는 중개사들에게 직격탄"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보다 지방이 더 위험실수요 기반이 약한 지방은 거래절벽이 더욱 심하다. 2020년부터 이어진 지방 저가 아파트 투기 열풍에 중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거래가 다수 이뤄졌으나, 지난해 정부의 대출규제가 본격화된 이후로는 매수세가 급격히 줄고 있다. 지방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실수요 비중이 적다 보니 자칫 집값 하락기에 ‘깡통전세’와 같은 문제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정부가 당분간 지방 규제지역을 유지하겠다고 밝히면서 거래 위축은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최근 대구 등 집값이 주춤하는 지방 지역에 대해 "여전히 낮은 금리와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을 감안했을 때 규제완화는 적절치 않다"며 조정대상지역 유지를 결정했다.
휘청이는 노·도·강…내 집 마련 ‘머뭇’서울에서도 중소형 아파트가 몰려 있는 노원·도봉·강북구(노·도·강) 지역 매매거래가 반 토막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부동산종합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강북구의 아파트 거래는 단 7건으로 1년 전(163건) 거래량의 4.2%에 불과하다. 강북권은 집을 매수할 때 대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대출규제와 금리인상에 더 크게 휘둘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지난해에는 어떻게든 자금을 끌어모아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매수자들이 가격과 대출 등을 감안해 더욱 신중해진 것 같다"며 "대선이 끝나기 전까지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당분간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