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2.30 13:38

'신통기획' 올라탄 압구정…재건축 속도내나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서울 재건축 바로미터인 강남구 압구정 아파트들이 잇따라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정비사업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전체 가구수만 1만 가구에 육박하는 대규모다. 내년 최종 선정 여부가 결정날 가운데 4년째 답보 상태인 지구단위계획 수립도 속도를 낼지 관심이 쏠린다.
3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한강변에 위치한 강남구 압구정아파트지구 6개 특별계획구역 중 6구역을 제외한 5개 구역에서 신통기획을 신청했거나 추진 중이다. 신통기획은 민간이 주도하는 정비사업이 서울시가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참여해 사업추진을 지원하는 제도다. 신통기획으로 재건축을 추진하면 통상 5년 정도 걸리는 정비구역 지정기간이 2~3년으로 단축된다.
압구정 아파트들은 제도 시행 초기만 해도 참여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여의도 시범아파트 등 알짜 재건축 단지에서 잇따라 신통기획을 선택하고, 오세훈 서울시장까지 나서 참여를 독려하면서 태도를 바꿨다. 4065가구로 가장 규모가 큰 압구정3구역(현대 1~7차, 10·13·14차, 대림빌라트)가 먼저 신통기획을 신청하자 2·5단지에 이어 최근에는 1구역(미성 1·2차)도 신청서를 제출했다. 4구역(현대8차, 한양 3·4·6차)도 조만간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신통기획에 대한 압구정 일대 단지의 관심이 높아진 것은 신통기획에 참여하지 않으면 서울시 심의에서 뒤처져 재건축 추진이 더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현재 사실상 재건축 추진이 멈춰있다. 서울시가 2016년 24개 단지를 6개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어 재건축하는 지구단위계획을 마련했지만. 이듬해 11월 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지구단위계획이 보류돼 4년째 멈춰있다.
지구단위계획은 아파트 단지들이 재건축 정비사업 계획을 수립하기 전 마련하는 상위계획이다. 수립되지 않은 채로 선제적으로 정비계획안을 만들수도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돼야 추진이 가능하다. 미리 만들었다가 정합성 문제로 갈등을 빚을수도 있다.
서울시는 신통기획 후보지로 선정되면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곳은 병행해 정비계획안 수립과 함께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미 선정된 여의도 시범아파트 역시 상위 계획인 지구단위계획과 신통기획 추진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잇따른 참여는 동시에 재건축을 진행해 가치상승 효과를 보려는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재건축이 실제 속도를 내게 되면 강남 한복판에서 1만 가구에 달하는 재건축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집값은 더 상승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로 인해 일대는 물론 서울 전체 집값이 자극될 수 있는 것은 서울시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단지별로 시간을 두고 재건축을 진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통기획을 신청한 재건축 단지의 경우 사전검토회의를 통해 큰 문제가 없는 이상 추진하겠다는 방침으로, 내년 초 사전검토회의를 열고 추진 단지를 결정할 계획"이라며 "다만 추진된다고 해도 단지마다 시차는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