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 미군 반환기지에 들어설 용산공원의 개원시기가 기존 2027년에서 반환(N년) 후 7년으로 변경됐다. 또 조성지구에 신규 편입된 옛 방위사업청 부지 등의 활용방안도 확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을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28일 확정·고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은 반환되는 용산 미군기지를 국가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2014년 12월 확정됐다. 이후 용산공원 경계확장, 용산기지 부분반환 등 여건이 다수 바뀐 만큼 정부는 그간의 변화를 반영해 이번에 변경계획을 만들었다.
변경된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선 옛 방위사업청, 군인아파트, 전쟁기념관 등 용산공원조성지구로 신규 편입된 부지들에 대한 기본구상이 마련됐다.
옛 방위사업청과 군인아파트 부지는 남산과 용산공원을 생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녹지공간으로 조성한다. 대신 부지 내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은 주변지역과 연계해 문화예술프로그램에 활용한다.
전쟁기념관과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부지는 공원 조성 이후에도 기존 시설들이 유지되는 곳으로, 해당 부지들을 통해 용산공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경계부를 계획한다.
전쟁기념관의 경우 인접된 용산공원 부지 일부를 야외 전시공간으로 조성해 공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용산가족공원은 생태적 리모델링을 통해 공원의 생태성을 더욱 강화한다.
이와 함께 지난 7월 발표된 국민참여단의 7대 제안문을 바탕으로 스마트공원·국민참여 계획을 신설하고 공원시설계획을 보완했다.
공원 조성부터 운영까지 전 단계에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참여 플랫폼을 구축한다. 용산공원이 국가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도록 녹지조성 시 탄소흡수율을 고려하고, 공원 내 건축물은 제로에너지 건축으로 리모델링하는 등 탄소흡수 및 감축 방안을 제시했다.
기존 계획에서는 2016년 전체 기지 반환이 완료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2027년 공원 조성 완료 및 개원이라는 단계별 계획을 수립했으나, 한미간 협의에 따라 기지 반환 일정이 결정되는 점을 고려해 기지 반환시점을 'N년'으로 설정하고 'N+7년' 개원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부지 반환 이전까지 부분 반환과 반환 부지의 개방을 위해 노력하면서 공원 조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전준비를 하고, 반환 이후에는 오염정화가 필요한 부지에 대한 정화공사를 진행하면서 그간 수립된 계획과 설계를 보완하고 오염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부지(옛 방위사업청, 군인아파트 부지 등)는 우선적으로 착공한다.
조성공사를 위한 준비를 마친 후에는 접근성이 높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공사해 개방하고, 개원 후에는 공원과 주변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이번 변경되는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용산공원을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진 국민의 여가휴식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공원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