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1.09 11:29

[단독]'요소수 대란'에 공공 디젤차 운행제한 검토

문대통령 "수급안정에 만전 기할 것"
공공기관에 필수車 외 사용제한 요청 방침

(자료사진)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정부가 관용 버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공공기관의 디젤(경유)차 운행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요소수 부족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자 영향력 행사가 가능한 공공부문부터 경유차량 운행을 최소화하는 카드까지 꺼내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9일 국무회의에서 요소수 문제를 ‘시급한 현안’으로 규정하며 "급한 곳은 공공부문 여유분을 우선 활용하고, 긴급 수급조정조치 등으로 수급 안정화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기초지자체와 공공기관에 디젤차 운행 자제를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공부문의 요소수 사용량을 줄이는 방안이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요소수 대란을 완화하는 대안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의 공공기관 디젤차 운행 제한은 지자체 조치를 따라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서울시는 요소수를 사용하는 소방차 가운데 비출동 차량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명령한 상태다. 경기도 역시 관할 시군과 공공기관에 필수 경유차량 외에는 사용제한 등을 요청했다. 정부는 경유를 사용하는 대형버스와 현장점검에 쓰이는 경유 SUV를 운행자제 대상에 포함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각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요소수 보유량과 필수사용량 등을 파악하고 있는데, 현황 파악이 완료되면 운행 최소화를 요청할 방침이다.
다만 민간부문에 대한 요소수 사용 자제 요청은 현재로선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 관계자는 "요소수가 부족하니 국민에게 사용을 자제하라고 하는 건 정부가 할 일이 아니다"며 "정부가 요소수 추가 확보를 위해 전방위로 뛰고 있는 만큼 최대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요소수 절감을 위해 관용 버스 등의 운행을 제한하는 조치가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경유차량 비중이 전체 관용차의 30% 수준에 불과한 데다 소방차, 경찰버스 등 불가피한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공공부문이 모범을 보일 것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급한 곳은 공공부문 여유분을 우선 활용하고, 긴급 수급조정조치 등으로 수급 안정화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외교역량을 총동원해 해외 물량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국민들께서는 지나친 불안감을 갖지 마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