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지난해 실손의료보험으로 1000만원 넘게 보험금을 받은 사람이 76만명에 달했다. 전체 가입자 3500만명 중에 2%에 그친다.
보험사들이 해마다 실손보험으로 수조원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이면에는 의료이용량이 많은 소수 가입자로 쏠림현상이 자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실손보험 가입자 3496만명 가운데 보험금 수령액이 1000만원이 넘는 가입자는 76만명으로 집계됐다. 보험금 지급액이 5000만원을 초과하는 가입자도 9만명을 기록했다.
보험금을 한 번이라도 받은 가입자는 131만명으로 전체의 37.6%에 해당하며, 이들이 받은 보험료는 전체의 58.4%를 차지했다.
반면 가입자의 60% 내외는 실손보험을 한 차례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매달 보험료를 꼬박꼬박 내면서도 보험금을 받지 않은 셈이다.
실손보험 적자는 계속 쌓이고 있다. 지난해 노후·유병자 실손을 포함한 개인 실손보험의 보험 손익(보험료수입-보험금-사업비)은 금융감독원 발표 기준으로 2조5000억원 적자였다.
결국 전체 가입자의 실손보험 활용도가 낮은데도 적자가 지속되는 이유는 소수 과도한 의료 이용 탓이란 게 보험업계의 판단이다. 다초점 백내장 수술을 비롯해 도수치료, 비타민·영양주사 같은 건강보험 미적용 진료 등 비급여 진료를 적자의 주원인으로 보고있다.
여기에 실손보험 가입자가 의료기관을 이용하더라도 보험금을 청구하려면, 관련 서류를 발급받아야 하는 등 청구 절차가 복잡해 청구를 하지 않는 것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보험사들은 손실을 만회하고자 보험료를 올리고 있다. 올해 구(舊)실손보험(2009년 9월 이전 판매)의 보험료를 6.8∼21.2%, 표준화실손보험(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 보험료를 6.8∼21.2% 올렸으나 적자는 되레 커지는 양상이다.
올해 6월 말 기준 손해보험업계의 실손보험 보험 손익은 1조4128억원 적자로 연말까지 적자 규모가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서로 적은 분담금을 내고 예기치 못한 불행을 당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보험의 기본 원칙이지만 실손보험의 구조는 지속가능하지 못할 정도로 과도한 상태"라면서 "과잉의료를 근절하기 위한 비급여 관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