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정부가 중국발(發) 요소 수급난을 계기로 마그네슘, 실리콘 등 범용 수입 품목 리스크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했다. 중국의 이번 요소 수출 통제처럼 거래 대상 국가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수입이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업계와 함께 재고 축적 등과 같은 선제적 대응을 하기 위함이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내부적으로 범용 수입 품목에 대한 전반적인 공급망 점검에 착수했다.
정부는 중요도에 따라 대략적으로 상황을 파악한 후 추가적인 대처가 필요하면 업계와 협의할 계획이다. 2년 전 일본의 수출 규제를 계기로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불화수소 등 반도체 3대 핵심 소재에 대해서는 국산화 등을 통해 공급망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산업적 수요가 커 글로벌 확보 경쟁이 치열한 희토류 등 희소금속도 총 35종을 선정해 공급망을 집중 관리 중이다. 그러나 소규모 수입업자들이 가격에 맞춰 자체적으로 수입해온 요소 등과 같은 범용 품목은 평상시 공급망 관리를 하기가 어려웠다. 요소 부족 사태도 이런 이유로 정부의 초동 대처가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중국발 공급망 충격의 파장이 다른 원자재로도 옮겨붙을 조짐이 나타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이 전력난과 탄소배출 규제로 마그네슘 생산을 줄이자 마그네슘 가격은 올해 7월 중순 톤당 1만9000위안(약 352만원)에서 9월 한때 7만위안(약 1297만원)까지 치솟았다.
마그네슘은 가볍고 단단해 자동차, 스마트폰, 배터리 등의 소재로 주로 쓰인다. 특히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생산을 위한 필수 원료다.
알루미늄 가격 역시 중국 정부의 생산 통제로 인해 지난달 기준 톤당 3000달러(약 356만원)를 기록하며 13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알루미늄 생산지다.
건설현장과 생활용품에 널리 쓰이는 실리콘도 불안하다. 중국 내 감산이 이뤄지면서 실리콘 원료인 메탈실리콘의 가격은 8월 초 1만7000위안(약 315만원)에서 지난달 6만1000위안(약 1130만원)까지 올랐다.
이들 원자재 가격은 이달 들어 조금씩 하락하고 있으나 중국 전력난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만큼 또다시 가격이 요동치고 품귀 현상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요소 수급난의 조기 해결이 난망한 가운데 다른 수입품으로까지 공급 부족 사태가 번져 '제2의 요소 대란'이 발생하는 일을 막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한국은 필수 원자재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이러한 공급망 리스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이 수입한 품목 1만2586개 중 3941개(31.3%)는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80% 이상이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