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조정대상지역 지정 발표 이후 문의 전화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가계약은 사실상 대부분 취소됐고, 집을 보러오는 사람도 크게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동두천시 지행동 A공인중개사(공인) 사무소 관계자)”
정부가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한 경기 동두천시 일대 부동산 시장이 혼란에 빠진 분위기다. 규제 강화로 시장이 얼어붙으며 집값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수도권 전반적으로 집값 상승세가 확산하는 추세여서 동두천 역시 규제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7일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동두천 지행동·송내동·보산동·동두천동·생연동·상패동 등 6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지행역 인근으로 동두천 내 아파트 대부분이 몰려있는 곳이다.
조정대상지역 지정 발표 이후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행동 B공인 관계자는 “동두천은 그동안 경기도에서는 드문 비조정지역이라 크게 인기를 끌었던 건데, 조정지역이 되면서 수요가 끊기면 집값이 떨어지는 일만 남는다”라고 말했다.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9억원 이하 구간은 50%, 9억원 초과분은 30%로 제한된다. 또한 총부채상환비율(DTI)은 50%가 적용되고,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이 강화된다.
반면 일부 주민들은 동두천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당분간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내동 C공인 대표는 “이 일대는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데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호재가 있기 때문에 투자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며 “고양시 덕양구 사례에서 나타났듯 지금과 같은 집값 상승기에는 조정지역으로 묶여도 가격이 뛸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비조정지역이었던 고양시 덕양구나 양주시 등은 조정지역으로 지정되고 나서도 몇 개월 간 상승세를 이어간 바 있다.
전문가들은 조정대상지역 지정이 집값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전망했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투자 수요가 어느 정도 차단되면서 집값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줄어들 수는 있지만 실수요 유입은 꾸준히 이뤄지면서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특히 동두천은 중저가 아파트가 많아 대출규제의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