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장기화로 주요 상권에서 빈 상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서울 대표 상권인 명동은 10곳 중 4곳이 비어 있을 정도로 심각하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1년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명동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38.4%로 집계됐다. 명동 상점에 임대문의, 임시휴업, 영업종료 문구가 나붙어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코로나19로 주요 상권에서 빈 점포가 속출하는 가운데 토지 공시가격 급등으로 점포주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임차인 찾기조차 어려운데 보유세 부담도 커진 탓이다. 당장은 아니지만 상권 경기가 회복세를 보일 경우 늘어난 세 부담이 세입자에게 전가할 우려도 제기된다.
31일 지방자치단체별로 공개된 1월1일 기준 전국 토지의 개별 공시지가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87만9402필지의 개별 공시지가는 평균 11.54% 올랐다. 지난해 8.25%보다 3.29%포인트 높은 상승률이다. 서울의 개별 공시지가 상승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2019년 12.35% 급등한 이후 2년만이다. 전체 필지의 97.8%에서 공시지가가 상승했다.
서울 외에 대구(11.56%), 세종(11.89%), 광주(12.36%)는 서울보다 개별 공시지가 상승률이 더 높았다. 전국 평균 9.95%를 크게 웃돈다.
특히 명동 등 서울 주요 상권들의 공시지가가 크게 뛰었다.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는 1㎡당 공시지가가 2억650만원으로 집계되면서 18년째 전국 최고가 자리를 유지했다. 인근에 마주보고 있는 클루 매장도 지난해 1억9900만원에서 올해 2억650만원으로 함께 뛰었다. 바로 옆 옛 유니클로 부지(1억9100만원), 아디다스 명동브랜드센터점(1억8800만원), 토니모리(1억8550만원) 매장 등도 공시지가가 모두 상승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여파로 중국 관광객들이 급감하며 장사를 접는 점포가 속출하는 가운데 보유세는 더 늘었다는 점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올 1분기 명동 상가의 공실률은 38%로, 10곳 중 4곳은 문을 닫았다. 반면 보유세는 공시가격 상승률(8.25%) 보다 더 크게 오르는 곳도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례로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의 모의 계산에 따르면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경우 올해 2억2517만원의 보유세를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지난해 보다 23.67%(4310만원) 늘어난 규모다.
이 같은 부담이 당장은 임차인에 대한 임대료 전가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우 팀장은 "임대료를 낮춰도 영업이 어려워 임차인들이 나가는 상황이라 당장 세금부담을 전가하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임대료가 오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