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5.25 12:15

"GTX, 우리 지역도 지나야"…C·D노선 둘러싼 갈등 심화

김포시의 한 아파트 외벽에 GTX-D 노선 서울 직결을 촉구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유치를 위한 지역 갈등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GTX-D 노선이 ‘강남 직결’을 요구하는 김포·인천 주민들의 반발로 한달째 논란인 가운데, 사업자 선정을 앞둔 GTX-C 노선도 기존 10개역 외에 추가될 3개역을 두고 지역간 긴장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두 노선 모두 다음달 최종 윤곽이 드러날 예정이어서 결과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또다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5일 국토교통부와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GTX-C노선 사업에는 현대건설, GS건설, 포스코건설 등 세곳이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했다. 경기도 양주와 수원을 잇는 C노선은 민간사업자가 민간자금으로 건설한 후 40년간 운영하면서 투자비를 회수하는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진행된다. 당초 창동, 광운대, 청량리, 삼성 등 10개 역으로 구상됐지만 국토부는 사업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3개까지 추가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신설역 유치전에는 안양시(인덕원역), 의왕시(의왕역), 서울 성동구(왕십리역), 동두천시(동두천역)가 뛰어들었다. 현재로선 사업에 참여한 3개 사가 모두 입찰제안서 기본계획에 포함한 왕십리역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왕십리역은 지하철 2·5호선과 분당선·경의중앙선이 지나는 환승거점인 만큼 처음부터 유력한 신설역으로 꼽혔다.
GTX 노선의 경우 지역 교통환경은 물론 집값에도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에 탈락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동구 외에도 안양시와 의왕시 등 모두 지자체 차원에서 사활을 걸고 역 추가를 추진 중이다. 특히 경기 북부 지역들의 경우 철도망이 부족한 만큼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노선 연결이 절실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선협상자로 선택되는 사업자가 제안한 추가역은 타당성 검증을 거치긴 해야겠지만 가능성이 높다"며 "민간 사업자가 사업성을 분석해 제안한 것이기 때문에 선정된 뒤에는 정부가 자체 판단으로 변동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다음달 18일께 우선협상자가 정해지고 추가될 3개역의 윤곽이 드러나면 김포와 같은 ‘집단적 반발’이 일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이미 GTX-D 노선은 ‘강남 직결’ 무산으로 김포와 부천, 인천 서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서울이나 경기 남부권에 비해 교통이 열악하다는 인식과 철도 무산에 따른 집값 하락 분위기까지 겹치자 분노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인천 검단과 영종 지역 주민들도 D노선이 자기 지역을 지나가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타지역에서는 김포 등을 상대로 "과도한 지역이기주의"라는 비판도 확산하고 있어 GTX를 둘러싼 갈등이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성 분석 없이 강남 연결만 주장해서는 힘들다"며 "오히려 그림을 처음에 잘못 그려놓으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해 3~4년은 그냥 까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D노선 역시 다음달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이 나오면 강남 연결 여부가 확인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일부 투자자들 외에 김포 등 상당수 주민들은 강남 연결보다는 빠른 사업 추진을 원하기도 하는 만큼 여의도나 용산 연결 방안을 계속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