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5.23 11:40

드론 실증도시에 영월·성남 등 10곳·규제 샌드박스 13개사 선정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강원 영월군, 경기 성남시 등 10개 도시가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새 드론 서비스를 도심지에서 구현해보는 '드론 실증도시' 10곳과 우수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드론 규제 샌드박스' 13개 사업자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는 드론 신기술의 도심 내 활용과 우수 기술 실증 지원을 위해 드론 실증도시 공모를 2019년부터, 규제 샌드박스 공모를 2018년부터 진행해왔다.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는 강원 영월군, 경기 성남시, 경남도, 광주광역시, 대구 수성구, 대전시, 세종시, 울산시, 전북 진안군, 충남 서산시 등 10곳이 선정됐다.
드론 실증도시에 선정된 각 지자체에는 10억 원 안팎의 예산이 지원돼 각 도시 특성에 따라 맞춤형 사업을 실증하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 드론 실증도시를 선정할 때 '드론 특별자유화구역'과 연계하도록 유도해, 각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드론 서비스를 비행 승인, 안전성 인증 등 규제 없이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도록 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자로 13개 드론 기업도 선정해 우수 드론 기술의 조기 상용화·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다양한 실증 및 제도 개선 사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 기업은 유비파이, LIG넥스원, 피스퀘어, 나르마, 엑스드론, 무지개연구소,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니어스랩, 카르타, 리하이, 스마티, 지텔글로벌, 한국법제연구원 등이다.
규제 샌드박스 사업으로는 글로벌 피자 체인과 연계한 피자 배달 서비스 상용화, 드론 방호 시스템 고도화, 실내공간 자율 비행, 악천후 환경 드론 운용, 도서 지역 혈액 배송 실증 등이 진행된다.
실증 지원 비용은 컨소시엄별로 1∼3억 원 안팎이다. 또 실증 결과에 따라 관련 규제 개선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국토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지난 21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올해 드론 실증도시 및 규제 샌드박스 사업 협약식을 열었다.
윤진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드론 실증도시와 같은 실증지원 사업을 비롯해 규제혁신, 연구개발, 해외진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드론의 활용시장이 넓어지고 드론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