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오후 인천시 서구 원당동 일대에서 경기 김포·인천 검단 시민들로 구성된 'GTX-D 강남직결 범시민대책위원회'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 노선의 서울 직결 등을 요구하며 촛불 집회를 열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일명 '김부선(김포~부천 노선)'으로 불리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 노선을 둘러싼 논란이 한달째 이어지고 있다. 검단 시민들로 구성된 'GTX-D 강남직결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주말인 22일 촛불집회를 열고 GTX-D 노선을 서울로 직결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대책위 회원과 지역 주민 등 400명(주최 측 추산)은 전날 오후 7시부터 인천시 서구 원당동 일대에서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GTX-D 노선의 김포∼강남∼하남 연결과 서울지하철 5호선의 검단·김포 연장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광역 철도라는 이름이 무색한 김포∼부천 노선이 아닌 강남으로 직결되는 노선을 확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달 말 국토교통부가 GTX-D 노선을 포함한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초안을 공개한 이후 김포 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당초 지역 주민들은 GTX-D 노선이 김포에서 강남까지 연결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계획안에는 김포 장기와 부천종합운동장까지 잇는 안만 포함됐기 때문이다.
지난 6일부터 시작한 'GTX-D 원안 사수' 범시민 서명 운동에는 20만명 이상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시는 오는 24일 시 의견서와 시민 서명서를 경기도에 공식 제출한다. 인천 영종·청라 시민들로 구성된 'GTX-D 인천시민추진단'도 23일 인천공항발 GTX-D 노선을 요구하며 걷기 행사를 할 계획이다.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정치권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7일 오전 김포골드라인에 탑승하고 노형욱 국토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GTX-D 노선 논란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힘 대표도 지난 19일 'GTX-D 노선 문제점 및 대안 모색 간담회'에서 "신도시는 교통 인프라를 먼저 설비한 뒤에 개발을 진행하는 게 도리임에도 열악한 상태로 버려두고 사는 사람들이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놔두는 것은 정부가 할 일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김부겸 국무총리 역시 최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GTX-D 노선 연장 요구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보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내 25개 자치구청의 협의체인 서울시구청장협의회는 GTX-D 노선을 서울까지 연장해달라고 정부에 공동 건의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GTX-D 노선을 여의도나 용산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지만 김포 주민들은 여전히 서울 강남을 지나 경기 하남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치권이 선거를 앞두고 지역 민심에 지나치게 흔들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타지역에서는 정치권의 GTX-D 노선 연장 움직임에 "떼를 쓰면 다 들어주는 거냐"는 비판도 제긴된다. 전문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의 조사 결과로 정해진 내용을 몇달만에 뒤엎으면 정책의 일관성이 흔들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다음달 GTX-D 연장 방향성을 담은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