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국토교통부노동조합은 12일 정부합동조사단의 1차 조사결과 국토부 직원들은 3기 신도시 토지 투기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됐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아니면 말고'식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를 지양해달라"고 요구했다.
국토부노조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입장을 발표했다.
최병욱 노조위원장은 "어제 LH 투기 관련 정부합동조사단이 발표한 1차 전수조사 결과, 국토부 전직원 가운데 연루된 직원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동산정책을 총괄하는 부처에서 근무하는 국토부 공무원들이 철저한 '직업 윤리 의식'으로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합조단은 국토부 직원 4509명과 LH 직원 9839명 등 총 1만4348명에 대한 토지거래 내역을 조사해 3기 신도시나 인접 지역내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2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명은 모두 LH 소속 직원이며, 국토부 직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
최 위원장은 "이번 사태가 발생한 직후부터 쏟아진 각종 의혹과 무차별적인 언론의 질타들로 국토부 직원들은 한편으로 경각심을 갖기도 했지만 사기도 많이 저하됐다"며 "특히 철도, 도로, 항공 등은 국민 생활안전과 직결된 분야로 직원들의 사기가 떨어질 경우 국민 안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정부합동조사단의 발표처럼 투기 직원이 없다는 점을 기억해 주시고, '아니면 말고' 식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 등을 지양해 주시길 당부 드리겠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 차원에서 국토부·LH 직원의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등에 대한 신도시 사전투기 의혹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국토부 직원이 투기와 전혀 관계가 없다고 단정하기는 섣부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상 내부정보를 이용한 투기는 본인보다는 가족이나 지인 등의 명의로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조사 결과를 더 기다려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 위원장은 "노조는 앞으로 부정부패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제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 측에 의견을 전달해 지속적으로 감시와 견제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겠다"며 "3기 신도시, 도시재생사업 추진 등 부동산 관련 정책이 공명정대하게 집행되도록 노동조합 차원에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