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정부가 2·4 공급대책을 통해 약 26만3000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를 지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관심이 신규택지 후보지로 쏠리고 있다. 이번 대책 공급물량이 83만가구에 달하지만 확정 가능한 물량은 택지공급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특히 18만 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한 수도권의 유력한 후보지로는 신도시 발표 때마다 거론되는 광명·시흥지구, 하남 감북 등이 꼽힌다. 정부는 올 상반기 중 두 세 차례에 걸쳐 신규 택지를 추가 발표할 계획이다.
5일 정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현재 신규 공공택지 확정을 위해 지자체와의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추가 발표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현재 사실상 협의를 완료한 곳도 있어 이르면 3월 중 일부 후보지를 발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변창흠 국토부 장관은 "입지는 거의 확정됐지만, 세부적으로 발표하려면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할 사항이 남아 있다"며 "상반기 중 2~3번에 걸쳐 신규 조성 택지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장의 관심은 수도권 신규택지에 집중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서울지역 택지공급 물량이 전무하기 때문에 서울 인근이나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교통여건과 개발여건이 뛰어난 곳이 1순위 후보지가 될 전망이다. 신규택지 지정을 통한 공급 규모는 18만 가구로, 이는 1기 신도시였던 분당신도시(9만7600가구) 2개를 합친 규모의 택지가 소요된다.
업계에서 대상지역으로 거론되는 곳은 보존가치가 떨어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과 저층 낡은 주택이 밀집 지역들이다. 유력 후보지로는 광명·시흥지구 등을 꼽힌다. 광명·시흥지구는 2010년 광명시 광명동, 시흥시 과림동 일대 1736만㎡에 9만5000가구 규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으나 주민 반대 등으로 난항을 겪다 2015년 해제된 뒤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됐다. 두 지역은 서울 서남권 접근성이 우수하고 지구 면적도 분당신도시(1960만㎡)에 육박, 9만 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난 2019년 3기 신도시 최종 명단에서는 제외되기는 했지만, 후보지로 꼽혔던 것이 이런 이유에서다.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지정됐었던 하남 감북지구도 잠재적 후보지로 꼽힌다. 감북지구는 경기 하남시 감북동·감일동·광암동·초이동 일대 267만㎡ 규모의 택지개발지구다. 서울 송파구와 바짝 붙어 있어 입지 매력이 높다.
기존에 거론됐던 지역 외에 전혀 다른 지역이 깜짝 지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일대와 김포시 고촌읍 등은 최근 교통망 개발과 맞물려 택지지구 지정이 가능한 지역으로 꼽힌다. 이외에 경기 화성 매송·비봉, 용인 공세리, 과천 주암동 일대 등을 신도시 대상지로 거론되는 곳이다.
이들 신도시 후보지는 수도권 서북부보다 동남쪽에 집중돼 있다. 수도권 계획법상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의 제한이 없고 인근에 주택 수요도 많다는 평가다. 면적도 330만㎡ 이상으로 넓다. 정부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지하철 노선 등 대중교통 편의성과 서울 접근성 등을 고려해 대상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역대 최대 공급’라는 타이틀에만 급급해 큰 그림만 제시할 뿐 구체적인 공급 대상지가 나오지 않아 시장의 불확실성만 더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공급 확대 의지만을 밝혔을 뿐 세부적인 시행안은 전무한 상태라 현실화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정부가 부랴부랴 신규 택지까지 ‘영끌’(영혼까지 끌어온다는 의미)해서 동원한 모양새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