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2.11 10:23

"2년 실거주 피하자"…개포 재건축 잇단 조합인가에 신고가 속출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구 개포동 일대 중층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잇따라 조합 설립인가에 나서고 있다. 이르면 내년 초부터 적용되는 조합원 실거주 의무를 피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잠시 숨 고르기를 하던 이 일대의 아파트 가격도 상승세로 전환하고 있다.
1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개포동 주공 6ㆍ7단지 재건축 추진위원회는 최근 강남구청에 조합 설립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6단지는 1060가구, 7단지는 900가구로 이뤄진 13~15층의 중층 아파트로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주민들은 재건축을 통해 가구수를 기존 1960가구에서 2994가구로 늘릴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철 분당선 대모산입구역과 맞닿은 역세권인 데다 양천초ㆍ개원중학교가 접해 있어 입지 여건이 뛰어난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쪽으로는 지난 7월 입주한 디에이치자이개포가 들어서 있다.
조합 설립인가 신청으로 개포 주공 6ㆍ7단지는 정부가 6ㆍ17 부동산 대책을 통해 내년 초 도입을 예고한 재건축 '실거주 규제'를 피하게 됐다. 이는 2년 이상 실거주한 재건축 조합원에게만 입주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관련 법 시행 전 조합 설립인가를 신청하면 면제된다. 개포동 일대 중층 단지 중 조합 설립인가를 받은 곳은 현재까지 5단지가 유일하다. 지난 1일 조합 설립인가를 받아 실거주 의무를 피한 상태다. 5단지는 기존 940가구에서 1307가구로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가격도 뛰고 있다. 7단지 60.76㎡(전용면적)는 지난달 19일 처음으로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어섰다. 5단지 83.21㎡는 지난달 17일 23억4500만원에 거래돼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같은 단지 53.98㎡ 역시 지난달 7일 19억원의 신고가를 찍었다. 이 지역 A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조합원들 중 해외나 타지역 거주자가 많아 그동안 사업 진척이 더뎠으나 실거주 규제가 발표되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연내 조합인가가 기정사실화하면서 집값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정비사업 추진 단지에 대한 투기 유입 차단을 위해 도입한 실거주 의무 규제가 오히려 서울 시내 재건축 추진 단지 곳곳에서 호재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압구정동 1~5구역 재건축 단지 일부에서도 최근 조합 설립인가를 추진하면서 잇따라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압구정동 현대6차 144㎡는 지난달 4일 37억5000만원으로 최고가를 쓴 데 이어 2주 만에 39억원으로 신고가를 또다시 경신했다. 현대2차 160.28㎡도 지난달 5일 42억8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
한편 실거주 규제를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은 지난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심사 소위를 통과하지 못하고 보류됐다. 현재 국회 일정을 고려했을 때 당초 계획된 연내 국회 통과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