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2.10 11:37

'올전세'가 사라지고 있다…새 임대차법 이후 '반전세' 늘어

남산에서 바라본 강북 아파트 전경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전세가 사라지고 있다. 지난 7월 새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이후 반전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임대차 중 전세 거래 비중이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계약갱신청구권제로 신규 전세 매물 자체가 씨가 마른 데다 다주택자가 급증한 보유세 부담으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면서 세입자들의 주거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0일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ㆍ월세 거래량 8691건 중 전세 거래는 5345건으로 61.5%를 차지했다. 올 들어 가장 낮은 비중이다. 지난 7월 72.9%였던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8월 69.7%, 9월 67.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10월 72.2%로 반짝 증가했지만 지난달에는 10%포인트 이상 급감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은 2011년 서울시가 관련 통계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래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역대 최저치는 전세난이 심각하던 2016년 1월의 59.2%였다. 역대 최저치와 지난달 수치는 단 2.3%포인트 차이에 불과하다.
상당수의 지역에서는 아예 전세 거래가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전세 비중이 가장 낮은 곳은 강동구로 33.9%에 불과했다. 임대차 계약 3건 중 2건이 월세였던 셈이다. 이어 ▲중랑구(34.7%) ▲서초구(46.2%) ▲종로구(49.3%)도 전세 거래 비중이 50%를 밑돌았다. 이어 ▲동대문구(50.6%) ▲구로구(51.6%) ▲강남구(54.6%) ▲송파구(58.0%) 순으로 전세 비중이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 치를 초과하는 '준전세'와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준월세를 통칭하는 '반전세'의 비중은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31.3%, 10월 26.9%에서 11월 37.9%로 크게 확대됐다. 전ㆍ월세 거래량은 세입자의 확정일자 신고를 토대로 집계되기 때문에 앞으로 추가 신고 가능성이 있지만, 전반적 추세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전세 소멸의 주요 배경으로는 지난 7월 말부터 시행된 계약갱신청구권, 전ㆍ월세상한제 등 새 임대차 보호법이 지목된다. 기존 전세 세입자가 기존 주택에 2년 더 눌러앉는 수요가 크게 늘면서 공급이 줄었기 때문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A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보통 수능이 끝나면 전세 매물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아직 아파트마다 한 건 있거나 없다시피 하다"며 "서울 전셋값이 다 올라 2년 더 살겠다는 세입자가 많다"고 말했다.
재건축 실거주 2년,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시 6개월 내 전입,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조건 강화 등 부동산 규제의 강화로 집주인의 자가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도 전세 부족을 유발하고 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파트실거래가(아실) 통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5개월 전과 비교해 25개 구 전역에서 큰 폭으로 줄면서 감소율이 65.1%에 달했다.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전반적 임대차 매물 잠김 현상으로 월세가격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1.06%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상승률(0.40%)의 2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6년 1월 이후 월간 기준 역대 최고 상승률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전세난이 지속되면서 월세를 올리기 쉬운 시장 환경이 구축됐다"며 "자가 거주하는 집주인이 많아지는 추세라 앞으로 서울 외곽에서도 100만원 이상의 월세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