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 중증·응급질환 순환당직제 '잘못됐다' 답변, 긍정 대비 3배…"당직비 보상 있어야"
광주광역시의사회, 의료실태 설문조사 실시…수도권 진료 유출 막으려면 환자의뢰·체계 활성화
사진=광주광역시의사회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료계가 정부가 필수의료 공백 개선을 위해 추진 중인 '중증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에 대해 부정적 견해가 찬성 입장에 비해 3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광주광역시의사회에 따르면 의사회는 최근 회원 3200여 명을 대상으로 광주지역 의료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 수는 485명이다.
정부는 중증·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하기 위한 대책으로 중증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를 시행 중이다.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매일 최소 1개 이상 당직 의료기관을 지정해 24시간 응급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대상질환은 급성대동맥증후군, 소아 급성복부질환, 산과응급질환으로 전라권에선 원광대병원(급성대동맥증후군, 응급혈관, 소아응급비뇨기, 기관지출혈·이물질), 전남대병원(기관지출혈·이물질,소아급성복부), 목포한국병원(응급혈관, 기관지출혈·이물질), 전북대병원(소아급성복부), 여천전남병원(소아응급비뇨기)이 참여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의사회
그러나 의사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증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가 지역 필수의료 공백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느냐'는 질의에 부정적 답변은 46.7%에 달했다. 반면 긍정적 답변은 15.4%에 그쳐 부정적 응답이 3배 가량 높았다.
순환당직제 보완책과 관련해선 34.2%가 '당직인력에 대한 재정적 보상 강화'를 답했으며 27.2%는 '권역별 응급환자 이송체계 표준화'를 꼽았다.
또한 '응급의료 정보시스템 구축 및 연계'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19.1%에 달했으며 '지역 내 응급환자 회송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는 답변도 13.6%였다.
수도권 진료 유출을 줄이고 지역완결 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으론 가장 많은 35.2%가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인력 확충'을 지목했고 이외 '응급의료기관 간 환자의뢰 및 회송체계 활성화(20.6%)', '지역 내 진료의뢰에 대한 제도적 유인방안 마련(16.3%)' 순이었다.
사진=광주광역시의사회
전공의·개원의 필수의료 기피현상의 원인은 ‘의료사고에 대한 위험 부담(41.2%)’이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했고 36%는 '낮은 의료수가', 14.6%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지목했다.
필수의료분야 지원을 위한 정책에 대해선 '법적인 보호제도 강화'를 지목한 응답이 43.6%로 가장 많았고 '의료기관에 대한 재정보상 강화'가 31.5%, '필수의료분야 전문의 처우개선'이 16.7% 순이었다.
'광주광역시가 추진 중인 광주의료원이 설립 시 반드시 갖춰야 할 진료영역은 무엇인가'라는 질의엔 '심뇌혈관질환(31.3%)',감염병 대응(17.1%)', '응급의료(16.3%)', '취약계층 의료안전망(15.8%) 등 응답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