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0.29 16:51최종 업데이트 25.10.29 16:51

제보

한-미, AI·바이오 등 과학기술 협력 강화…기술번영 양해각서(MOU) 체결

'인공 지능 응용 및 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지도력' 관련 합의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한국과 미국이 '한-미 기술번영 양해각서(MOU)(Technology Prosperity Deal, TPD)'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에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다. 양해각서는 미래 세대의 번영을 함께 도모하고, 양국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며 한미 동맹을 격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공 지능 응용 및 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지도력(리더십)' 관련 합의를 담는다.

이는 최근 인공 지능, 양자(퀀텀), 합성생물학 등 핵심신흥기술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른 조치로, 양국은 핵심기술의 전방위적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앞서 양국은 1992년 과학기술협정을 시작으로 원자력협정, 우주협정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왔다.

첫 번째 협력 분야인 인공 지능 응용 및 혁신 가속화에서 양국은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기술·산업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혁신 친화적인 인공 지능 정책 틀(프레임워크)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인공 지능 전 분야(full stack)에 걸친 인공 지능 기술 수출을 협력하는 등 아시아 및 기타 국가의 역내 공동 인공 지능 생태계를 조성한다. 아울러 신뢰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술 수출에 협력하며, 인공 지능 활용에 적합한 데이터 모음(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인공 지능 혁신 촉진 등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한다.

두 번째 협력 분야인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지도력(리더십)에서는 차세대 통신, 제약·생명과학(바이오) 기술 공급망, 양자 혁신, 우주 탐사 등 핵심기술 분야의 실행 방안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핵심신흥기술 분야 연구개발 전반에서 연구 안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기초연구와 인력교류를 적극 지원해 양국의 과학기술 협력 기반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계약은 한-미 양국이 경제·안보·산업 측면에서 과학기술 협력관계를 굳건히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양국은 기초연구, 전략기술, 연구안보를 포괄하는 기술 동맹으로 협력을 확장하고, 세계 경쟁에서 지도력(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한 걸음 나아갈 예정이다.

아울러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양해각서 이행의 실질적 추진체계로 활용하기로 해, 양해각서의 실천력도 확보할 예정이다.

하정우 인공 지능(AI) 미래기획수석과 백악관 마이클 크라치오스 과학기술정책실장은 양자 면담을 통해 이번 양해각서의 이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은 이번 논의를 토대로,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내년 워싱턴 D.C.에서 개최하고, 구체적이고 발전된 협력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하정우 인공 지능(AI) 미래기획수석은 "이번 양해각서는 사람 중심의 포용적 인공 지능과 민간 주도의 혁신을 바탕으로 양국이 함께 기술 주권을 키우게 될 것이라며, 특히, 한·미 간 인공 지능 연구개발 및 인공 지능 전분야(AI 풀스택) 수출 협력 등은 우리나라가 인공 지능 3대 강국으로 크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훈 부총리는 "이번 양해각서는 제목 그대로 양국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한 협력의 상징으로, 양국은 과학기술을 통한 자유와 상생의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이번 양해각서로 정부 간 기술 번영을 약속하고, 앞서 미국 블랙록, 오픈AI와 체결한 인공 지능 생태계 협력 양해각서에 이어 한-미 간 과학기술 교류와 투자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지원 기자 (jwlee@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