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故 윤한덕 센터장 추모
故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의 영결식에서는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는 데 헌신했던 고인을 추모가 이어졌다. 윤 센터장은 떠났지만 우리 사회에는 고인이 생전 주장했던 응급의료기금 확보를 통한 운용 효율 강화, 응급의료의 질 향상과 체계화, 응급의료 거버넌스 구축 등 숙제가 유언처럼 남았다.
큐레이터 정다연 기자
2019.02.11 -
심사체계 개편 방향
정부가 올해 3월부터 '가치기반' 심사체계 개편안 시범사업을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부터 시작한다. 이에 대해 의료계는 지불제도 개편과 총액계약제 사전포석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심사체계 개편 원점에서 재검토를 정부에 요구했다고 밝혔으나, 의협이 특별히 반대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큐레이터 임솔 기자
2019.01.29 -
'임세원 교수 사건' 후속 대책
진료 중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유명을 달리한 ‘故임세원 교수 사건’으로 의료계가 충격과 슬픔에 휩싸였다. 의료계는 깊은 애도를 표하며 안전한 진료환경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정부와 국회도 관련 법안을 연이어 발의하거나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며 재발 방지책 마련에 착수했다.
큐레이터 윤영채 기자
2019.01.14
토큐(ToQ)
-
의협, 투쟁이냐 협상이냐
대한의사협회가 문재인 케어(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와 한의사 의료기기 허용을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비대위는 12월 10일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앞두고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협상을 이어갈지, 투쟁을 준비할지 주목된다.
큐레이터 임솔 기자
2017.11.16 -
치매국가책임제의
미래'치매는 국가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전국으로 치매국가책임제가 확대되고 있지만, 시행 전부터 여러 논란이 나오고 있다.
큐레이터 황재희 기자
2017.11.13 -
미국류마티스학회
화제의 연구들4~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류마티스학회 연례학술대회(ACR 2017)에서 국내 개발 약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공개됐다.
큐레이터 박도영 기자
2017.11.09 -
헬스케어 인공지능의 현재
IBM 왓슨이 국내 6개 병원에 도입된 것을 비롯해 인공지능을 헬스케어 분야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의료계에 점차 일반화되기 시작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제도적 지원에 대한 목소리는 아직 여전한 듯 하다.
큐레이터 이지원 기자
2017.11.06 -
수가인상 현실화될까
문재인 케어 시행과 맞물려 정부의 수가인상 방안이 나왔다. 정부는 의원 진찰료를 33% 인상하는 등 수가 인상에 전체 4조원 이상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료계는 정부를 믿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큐레이터 임솔 기자
2017.11.02 -
문재인 케어와
실손보험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실시하는 문재인 케어로 실손보험사들이 큰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료 인하 등 실손보험 관련 정책이 잇따르면서 보험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큐레이터 황재희 기자
2017.10.30 -
고공행진하는
바이오시밀러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는 바이오시밀러와 관련된 최근 소식을 모아봤다.
큐레이터 박도영 기자
2017.10.26 -
문재인케어, 재정 전망 논란
문재인 케어는 비급여의 전면 급여화를 전면으로 내세워 재정 조달 및 절감 방안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총액계약제까지 거론되고 있어 의료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큐레이터 이지원 기자
2017.10.23 -
'총액계약제' 태풍전야
문재인 케어를 시행하기 위한 건강보험 재정 절감 정책이 고개를 들고 있다. 급기야 보건복지부가 '총액계약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자 의료계 여론이 들끓고 있다.
큐레이터 임솔 기자
20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