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윤 위원장 "공공의대는 보완책일 뿐, 핵심은 지역의사와 공공임상교수제"
공공의대 40명으론 인력 문제 해결 못해…공공임상교수 월급은 정부가 3분의1 지원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공공의대 설립만으론 지역의료 격차를 줄일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포용복지국가위원회 김윤 공동위원장(서울의대 의료관리학 교수)이 공공의대 설립은 지역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보조적 수단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즉, 민주당 공공의료 확충 정책의 핵심은 의료 인력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지역의사제와 공공임상교수제도 라는 게 김 위원장의 견해다. 그는 공공의대를 설립해서 배출되는 40명 가량의 인원으론 부족한 지역의 의료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병행해 지역의사제, 공공임상교수제, 지역별 공공병원 확충이 동시에 진행돼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윤 위원장은 8일 오후 '한국보건의료포럼' 대선 공약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공공병원 확보해 필수의료 책임…지역 필수의료 별도 수가 가산제 도입도 이날 김 위원장은 우선 더불어민주당의 보건의료 공약을 먼저 소개했다. 민주당 보건의료 공약은 크게 '의료격차해소'와 '돌봄국가 책임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