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디지털치료제, 마약성 진통제 남용 해소 등 처방 옵션 확대 전망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디지털헬스아카데미 ①VR 디지털치료제, 마약성 진통제 남용 해소 등 처방 옵션 확대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국내에서도 올해 안 디지털치료제(DTx, 디지털치료기기) 상용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규제당국의 허가와 보험 등재 절차를 거쳐 처방 옵션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면, 의약품 남용 해소 등 국민건강에 다양하게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의대 임상약리학교실 유경상 교수는 27일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디지털헬스아카데미에서 가상현실(VR) 기반 디지털 치료제(DTx)를 주제로 이 같이 밝혔다. 유 교수는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가 '목에 음식이 걸렸다'고 주장했지만, 기존 환자들과 달리 지나치게 불편감과 불안을 호소하는 등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게다가 물도 삼킬 수 있는 상태로 확인된 사례가 있다"며 "해당 환자는 식도에 음식이 걸린 것이 아닌 공황장애 환자로 진단됐고, 동의를 구하고 VR헤드셋(머리에 얹는 디스플레이)을 통해 치료를 제공한 결과 약물과 비 2022.04.28
첨단치료·디지털헬스 등 주요 이슈 한자리에…바이오코리아2022 컨퍼런스 개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오는 5월 11일~1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바이오코리아 2022(BIO KOREA 2022)에서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로 17회째를 맞이한 바이오코리아 2022는 컨퍼런스, 비즈니스포럼, 전시, 인베스트페어 등으로 구성되며, 세계 각국의 바이오헬스 분야 경영진, 컨설팅 전문가와 관련 연구자, 정책 담당자, 투자자가 한 자리에 모이는 비즈니스 행사다. '포스트 코로나와 미래 혁신 기술(Beyond the Pandemic, into A Next Wave)' 주제로 열리는 이번 바이오코리아는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 상황에서 바이오헬스 산업과 기술개발 동향의 변화를 공유한다.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올해 컨퍼런스에서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첨단재생의료임상연구지원사업단 등 국가 R&D 사업을 수행하고 2022.04.27
"적절한 항생제 사용·감염관리 비용 보상 필수"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영아 교수 연구팀은 '감염질환의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 여부에 따른 환자 특성 및 치료경향의 분석'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국내 항생제 내성은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병원균은 새로운 항생제 도입에도 이에 대항하는 내성유전자를 끊임없이 획득하여 다양한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주요 병원 내성균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생성균으로 이러한 항생제 내성 세균의 감염은 치료제의 제한, 치료기간 연장, 사망률 증가 등으로 공중보건의 위협, 사회경제적 손실 초래하 2022.04.27
'종근당 예술지상 2022' 작가 선정…신진 미술작가 창작 지원
종근당홀딩스는 지난 26일 서울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종근당 예술지상 2022 증서 수여식'을 갖고 박시월, 오세경, 최수정 등 3인을 올해의 작가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선정된 작가들에게는 연간 1000만원의 창작지원금을 3년간 지원하며, 지원 마지막 해에는 기획전 개최 기회를 제공한다. 종근당은 미술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두 차례 비공개 심사를 통해 최종 3명의 작가를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작가들은 확고한 주제의식과 발전 가능성, 회화의 다양성을 표현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박시월 작가는 얇은 선들을 반복적으로 그어 희미하고 불투명한 드로잉 기법을 구축하고 있으며 오세경 작가는 일상의 아이러니한 순간이나 사회적 문제, 사건의 부조리함을 불, 빛, 연기와 같은 작가 특유의 회화적 장치를 통해 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수정 작가는 회화와 설치, 오브제 등을 결합한 새로운 형식의 회화 작업을 통해 전통적인 방식에 도전하고 있다. 최수정 작가는 "종근당 예술지상 2022.04.27
GC셀, 1분기 영업이익 전년동기比 876%↑…역대 최대 실적
GC셀은 1분기 잠정 연결기준 매출액이 838억원으로 전년 대비 20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361억원으로 876% 늘었다고 27일 공시했다. GC셀의 분기 영업이익이 3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연간 영업이익 수준의 신기록을 달성했다. 매출액 또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캐시카우인 검체검사사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영향으로 검체검사사업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16% 증가했고 바이오물류 사업도 23% 증가했다. 또한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기술이전료 매출도 호실적을 견인했다. 이와 함께 합병 후 세포치료제 및 CDMO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면서 성장세에 힘을 보탰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양사 통합 이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제조원가 등 일부 고정비용이 감소하여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GC셀은 합병을 통한 단기 수익성 개선뿐 아니라 중장기적 미래성장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있다. 이에 따라, 최근 2022.04.27
동아에스티, 올해 1분기 영업이익 820%·당기순이익 210% 증가
동아에스티(동아ST)는 2022년 1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9.0% 증가한 1535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820.1% 증가한 79억원,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09.7% 증가한 2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문의약품(ETC) 부문, 해외사업 부문, 의료기기·진단사업 부문 등이 모두 고르게 성장한 데 따른 결과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그로트로핀 등 주력 품목들의 매출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943억원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그로트로핀(인성장호르몬제)은 전년동기 대비 28.3% 증가해 127억원을 기록했으며, ▲슈가논(당뇨병치료제)은 12.7% 증가한 80억원이었다. 또한 ▲주블리아(손발톱무좀치료제는 8.8% 증가한 62억원, ▲스티렌(위염치료제)은 전년동기 대비 8.7% 증가한 50억원, ▲모티리톤(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은 8.1% 증가한 80억원이었다. 다만 가스터(소화성궤양치료제)는 20.8% 감소한 57억원에 2022.04.27
동국제약, 위탁가정 아동 위한 '아이튼튼' 사업 5년째 후원
동국제약은 아동옹호대표기관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 함께 '아이튼튼' 사업을 5년째 후원한다고 27일 밝혔다. 어려운 환경에 놓인 위탁가정 아동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주관하고 동국제약이 후원하며 2018년 시작된 ‘아이튼튼’ 사업은 ‘아이들의 몸과 마음을 동시에 돌본다’는 취지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위탁가정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비와 심리치료비를 지원해 주는 사회공헌사업이다. 이 사업은 대상 아동들의 영양결핍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에게 12개월간 석식비를 지원하는 ‘몸튼튼’ 프로그램과 위탁아동의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전문심리치료비를 지원하는 ‘마음튼튼’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이제훈 회장은 "동국제약과 함께하는 ‘아이튼튼’ 사업은 위탁가정 아동들의 안정적인 성장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가정 환경의 변화로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기도 하는 위탁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초록우산어린이재단도 동국제약과 함께 최선의 노 2022.04.27
신신제약, 세종시 소정면 기초 연금 어르신 위한 의약품 기부
신신제약이 거점을 두고 있는 세종시 소정면의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의약품을 기부하며 자사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신신H2O Life’를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신신제약은 지난 26일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해 약 5000만원 상당의 의약품을 기부했다. 기부 물품으로는 어르신들이 선호나는 파스, 밴드와 함께 장과 눈 건강을 위한 영양제 및 일상에서 꼭 필요한 KF94 방역마스크까지 포함했다. 기부 물품은 어버이날을 맞아 소정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서 진행하는 ‘청춘붙임사업’을 통해 기초 연금 수령 노인 가구에 전달할 계획이다. 신신제약은 2019년 현재 위치의 세종공장으로 이전하면서 세종시와 인연을 맺고 지역 사회와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매년 소정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건강키트 등 의약품을 기부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는 소속 직원의 급여 일부를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세종시 착한일터로 가입하면서 지속 가능한 나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세종 2022.04.27
임성기재단, 年4억원 규모 극희귀질환 연구지원 사업 공모
한미약품그룹은 창업주 고 임성기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철학과 유지를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희귀난치성 질환 분야 연구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지원 사업은 공모 첫 해에 약 4억원 규모로 진행되며, 임성기재단은 희귀질환의 병리기전 규명에서부터 치료제의 임상 단계까지 전 주기를 지원한다. 재단은 연구공모 분야로 ‘소아염색체 이상에 따른 극희귀질환의 기초 및 임상연구’를 지정했다. 재단 측은 "해당 분야의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매우 커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환자수가 극히 적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어 공익적 목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실제 재단이 지정한 이 극희귀질환 분야는 국내 환자수가 연간 100명 이하로 유병률이 매우 낮은데다 별도의 질병코드도 존재하지 않아 해당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가족들이 큰 고통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공모 기간은 오는 5월2일부터 7월31일까지이며, 신청 자격은 국내에 있는 한국 국적 2022.04.27
대웅제약, 유씨아이테라퓨틱스와 면역세포치료제 공동 개발 추진
대웅제약은 CAR-NK 세포치료제 개발 바이오벤처 유씨아이테라퓨틱스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웅제약과 유씨아이테라퓨틱스는 양사의 세포치료제 개발·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 생산 설비를 확충하는 한편, 유씨아이테라퓨틱스가 개발하는 CAR-NK면역세포치료제의 비임상·임상 시료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의약품 전문 생산)를 담당할 예정이다. 협약기간은 체결일로부터 5년이다. 유씨아이테라퓨틱스는 지난 2020년 설립됐으며, 유전자 도입을 통한 NK세포 엔지니어링 기술을 토대로 CAR-NK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CAR-NK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CAR(Chimeric Antigen Receptor, 키메라 항원 수용체)와 2022.04.2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