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망원인 3위 '코로나'…고위험군에 위험 여전 '기저질환자' 예방접종해야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질병관리청의 23-24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계획에 따라 10월 고위험군을 시작으로 11월부터는 12세 이상 전 국민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무료로 이뤄지고 있다. 겨울에 접어들면서 코로나19의 안정적 관리와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65세 이상 접종률은 38.5%(11월 30일 기준)로 예년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만, 문제는 나머지 연령층의 접종률이 약 2%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특히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운 장년층의 접종률은 2.8%(50~59세), 7.3%(60~64세)로 고령층에 크게 못 미친다. 기저질환 유병률 높은 50~60대 초반 장년층, 코로나19 고위험군에 속해 코로나19는 지난해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할 만큼 치명적인 질환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코로나19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높았고 80세 이상 사망률이 65.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23.12.09
큐라클,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CU104 글로벌 2상 유럽에서도 IND 승인
큐라클이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CU104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유럽 3개국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승인 받았다고 8일 공시했다. 6월 미국에서 IND를승인 받았으며, 향후 한국에서도 승인 받으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2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2상은 중등도 또는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8주간 진행되며,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글로벌 시장규모는 약 40조원으로, 높은 미충족 의료수요와 더불어 많은 제약사들이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경쟁력 있는 임상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전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 및 국내 유수의 의료진의 자문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의 협업 등 약물개발에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고 밝혔다. 2023.12.08
한국로슈, 최초의 이중 특이항체 B세포 림프종 치료제 ‘컬럼비’ 허가
한국로슈는 CD20xCD3 이중 특이항체 컬럼비(성분명 글로피타맙)가 두 가지 이상의 전신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성인 환자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고 8일 밝혔다. DLBCL은 신체를 보호하는 B세포가 통제할 수 없이 성장하거나 증식하는 질환으로, 비호지킨 림프종(NHL) 중 약 40%를 차지한다. 질환이 빠르게 진행되는 공격적인 아형으로, 진단 직후 치료를 빠르게 시작해야 하며, 치료 차수가 늘어날수록 예후가 급격하게 나빠지는 특징을 보인다. 국내 전체 환자 수는 2022년 기준 1만2910명으로 5년 전인 2017년 9791명보다 31.8% 늘었다. 컬럼비는 B세포 림프종 치료를 위한 최초의 이중 특이항체다. 악성 B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CD20 영역 2개와 면역세포 T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CD3 영역 1개를 결합하는 2:1 구조의 CD20xCD3 T세포 관여 이중 특이항체로, 면역 T세포가 악성 B세포를 타깃하도록 설계 2023.12.08
에이비온, '바바메킵' 글로벌 임상2상 KDDF 과제 선정
에이비온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바바메킵(코드명 ABN4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규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바바메킵은 바바메킵은 c-MET 돌연변이를 타깃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현재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이다. 향후 2년간 총 7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으며, 이를 통해 바바메킵의 다음 단계 임상시험계획(IND) 승인까지 목표하고 있다. 에이비온은 바바메킵에 대해 2018년 보건복지부로부터 7억원을 지원받아 비임상 연구과제를 수행했고, 2020년에는 글로벌 임상1상 연구에도 보건복지부 과제로 21억원을 지원받았다. 2023.12.07
한국GSK 젬퍼리, 국내 자궁내막암 면역항암제 중 첫 급여 출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자궁내막암 치료제 젬퍼리(성분명 도스탈리맙)가 면역항암제로는 부인암 분야에서 처음으로 급여 등재되면서, 12월 1일부터 백금기반 전신 화학요법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재발성 또는 진행성 불일치 복구결함 또는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dMMR/MSI-H)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급여가 적용된다. 한국GSK가 7일 젬퍼리의 보험급여 출시를 기념해, 국내 자궁내막암 치료의 미충족 수요를 짚어보고 젬퍼리의 임상적 가치를 공유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젬퍼리는 PD-1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로, T세포 표면의 PD-1 수용체와 결합해 암세포의 PD-L1 또는 PD-L2 사이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항종양 면역을 활성화한다. 2022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 백금기반 전신 화학요법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재발 또는 진행성 불일치 복구결함 또는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 자궁내막암이 있는 성인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한부인종 2023.12.07
멥스젠, 세계 최초 장기 조직 모델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 출시
멥스젠이 최근 세계 최초로 인체 조직을 자동으로 배양하는 미세생리시스템(Microphysiological Systems, MPS)자동화 장비 프로멥스(ProMEPS)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흔히 생체조직칩∙장기모사칩(Organ-on-a-chip)이라고도 불리는 미세생리시스템은 인간 장기의 주요 조직 구조와 기능을 작은 칩 안에 모사하는 기술로 인체의 생리적 혹은 병리적 환경을 칩 내부에 구현해 생리학 기초 연구부터 신약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멥스젠의 생체조직칩 중 하나인 MEPS-TBC-WL은 혈관 내피세포와 3차원 형태의 주요 장기 세포들이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플라스틱 칩으로 뇌, 신장, 피부, 혈관 등을 비롯해 3차원 혈관화 종양 미세환경 구현과 오가노이드(Organoid) 대량생산 및 상품화를 위한 모델링도 가능하다. 이번에 출시된 프로멥스에 MEPS-TBC-WL 칩 4개를 넣고 장비를 가동하면 장기 모델링을 위한 세포 주입, 세포 2023.12.07
셀트리온헬스케어 '허쥬마', 뉴질랜드서 보조금 지원 품목으로 선정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뉴질랜드 의약품관리청(Pharmac)으로부터 보조금 지원 대상 품목(funded brand)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기존 보조금 지원 대상 품목은 오리지널 제품인 허셉틴이었지만 이번 결정으로 허쥬마로 변경됐다. 지원 기간은 2023년 12월 1일부터 2027년 5월 31일까지 총 3년 6개월이며, 지원 금액은 허쥬마 150mg 바이알 1개당 100달러, 440mg 바이알 1개당 293.35달러로 책정됐다. 오리지널 제품인 허셉틴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은 2024년 5월 31일까지 허쥬마로 전환해야만 보조금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이번 정책 결정에 대해 치료 효능이 뛰어난 바이오의약품을 보다 많은 환자들에게 전달하려는 뉴질랜드 정부의 강한 의지가 작용한 결과라 설명했다. Pharmac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보조금 지원 품목에 허쥬마를 선정했으며, 이를 통해 트라스투주맙 치료제에 대한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확대할 2023.12.07
[2024년도 전공의 모집] 인하대병원
2023.12.06
[2024년도 전공의 모집] 전남대병원
2023.12.06
앱클론, AM109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KDDF 과제 선정
앱클론이 AM109 프로젝트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이 주관하는 2023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되었다고 6일 밝혔다. AM109 프로젝트는 이중항체 어피맵(AffiMab)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PSMA 암질환단백질과 T세포 4-1BB를 연결하는 난치성 전립선암 특이적 면역세포 인게이저(engager)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AM109 치료제가 타깃하는 난치성(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은 종양이 전립선 이외의 신체 부위까지 전이된 전립선암의 가장 심각한 단계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러한 난치성 전립선암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2~3년에 불과하다. 앱클론은 독특한 이중항체 플랫폼 어피맵 기술을 적용하는데, 이 플랫폼은 항체보다 25분의 1 수준으로 크기가 작은 어피바디(Affibody)가 T세포를 불러 모으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이와 연결된 항체는 전립선 암세포를 타기팅함으로써 암살상 능력을 극대화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미 앱클론은 이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대장암치료를 2023.12.0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