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12.09 07:37최종 업데이트 22.12.09 10:24

제보

지원율 50%대 위기의 가정의학과…내과 수련단축에 필수의료 대책 배제 탓

[2023년 전공의 모집 결과] 2023년 가정의학과 지원율 56%…주치의제도 도입 등 일차의료 중심 정책 확대 절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2023년 전공의 모집에서 지난해에 이어 가정의학과의 위기가 계속됐다.

가정의학계는 현재 일부 전문과에 편향된 필수의료 강화 대책이 유지되는 한 위기에 빠진 가정의학과가 반등하기 어렵다고 봤다. 또한 내과 수련기간 단축도 가정의학과 미달 사태에 한 몫했다는 반응이다. 학회는 일차의료 중심의 의료전달체계 개선 대책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메디게이트뉴스가 9일 전국 수련병원 67곳을 조사한 결과, 가정의학과는 올해 198명 정원에 111명이 지원해 미달 사태를 이어갔다. 지원율은 56.1%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정의학과는 최근 대부분의 수련병원에서 정원 미달을 면치 못하고 있다. 2021년 지원율이 55%까지 줄어들다가 2022년엔 소폭 반등해 60%의 지원율을 보였지만, 올해 다시 50%대로 추락하며 주요 수련병원에선 꾸준히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도 이같은 흐름이 반복됐다. 빅5병원 중에 삼성서울병원만이 6명 정원을 채웠고 서울대병원은 20명 모집에 18명, 서울아산병원은 6명 모집에 2명만이 지원해 미달 사태를 겪었다. 세브란스병원도 13명 정원에 10명, 가톨릭중앙의료원도 16명 모집에 3명만이 원서를 냈다. 

전공의 지원 자체가 끊긴 병원도 많았다. 가천대길, 이대목동, 고신대, 국제성모, 일산백, 건양대, 한림대춘천성심, 양산부산대, 명지병원 등은 1명의 지원자도 나오지 않았다. 
 


가정의학과의 위기는 내과 수련 3년제 단축과도 맞물린다. 내과학회가 기피과 문제로 고심하다 수련기간 단축을 감행한 뒤 가정의학을 선택하던 지원자들 일부가 내과로 전향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내과 수련기간 단축으로 가정의학과 지원 메리트가 사라지자 기존 가정의학과 레지던트들의 중도포기율도 꾸준히 높은 상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밝힌 '최근 3년 가정의학과 전공의 중도 포기율'에 따르면 2019년 가정의학과 전공의 305명 중 30명인 9.8%이 중도 포기했고 2020년과 2021년은 7.2%가 중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가정의학회 관계자는 "객관적인 수치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내과 수련 단축의 영향이 있다고 추측된다. 지원자군 성향 자체가 겹치다 보니 수련이 3년으로 줄어들면서 시간적인 면이나 전공의 기간 동안 삶의 질 등 여러가지를 고려했을 때 내과 전향이 많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강태경 회장도 "(수련기간 단축과) 연관이 없다고 보긴 힘들다. 다만 외국 사례를 봤을 때 수련 연차 자체를 줄이는 것이 장기적을 봤을 때 이득인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문제가 생길 여지가 많다"며 "수련시간은 계속 줄어만 가는데 정부도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 긴 안목을 갖고 수련제도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필수의료 강화 대책에 가정의학과가 빠져 올해 지원율이 저조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전공의 지원 미달을 겪는 소위 기피과들이 이번에 많은 제도적 혜택을 받게됐는데 최근 위기를 겪고 있는 가정의학과는 사실상 지원 대상에서 배제됐다는 것이다.

특히 가정의학계는 이 같은 일부 과에 편향된 필수의료 대책 기조가 변하지 않는 이상 가정의학과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힘들다고 봤다. 대안으론 일차의료 중심의 의료전달체계에 기반한 주치의제 확대 등 제도가 꼽힌다. 

강태경 회장은 "가정의학과가 필수의료대책에서 사실상 유기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필수의료를 응급과 중환자들로만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는 오산이다. 가정의학과가 주도할 수 있는 주치의제 등 일차의료 중심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정의학회 선우성 이사장도 "이번 전공의 모집 결과를 보면 일차의료가 인기가 없다는 현실이 여실히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급하게 생각하기 보단 일차의료가 살아나는 것이 순서"라고 말했다. 선 이사장은 또한 "일차의료가 중심이 되는 의료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인기가 없어도 일차진료 전문의의 길을 갈 수 있는 정책적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