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메디나파운데이션(Fundación MEDINA)·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Drugs for Neglected Diseases initiative)과 라카이사 헬스리서치 2020(la Caixa Health Research 2020)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리슈만편모충증·샤가스병 천연물신약 개발 공동연구에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리슈만편모충증과 샤가스병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수천명이 사망에 이르는 열대성 소외질병으로, 주로 개발도상국의 빈곤하고 소외된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지만, 선진국에서도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치료제의 약물 내성 증가와 부작용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메디나와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협력해 신약개발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이미지 기반 세포 스크리닝 기술을 사용해 메디나가 보유한 방대한 양의 미생물 천연물 라이브러리의 효능을 분석한다. 또한 연구소의 첨단 세포 이미징 기술을 접목한 이미지 기반 '기생충 페인팅' 분석법을 신규 개발 및 활용해 새로운 화합물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효능이 우수한 화합물을 선정해 후속 연구개발로 연계할 예정이다.
3년간의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라카이사는 3년간 총 95만 5000유로(약 13억원)를 지원해 3개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 강화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천연물신약 개발 연구의 중심인 메디나, 초고속대용량 스크리닝의 선구자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열대성 소외질병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는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 등 3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 선행 데이터를 활용해 적극 연구에 나설 예정이다.
메디나의 과학 디렉터이자 본 연구의 책임자인 올가 제니루드(Olga Genilloud) 박사는 "이번 공동연구의 독특한 파트너십과 다학제적인 접근법을 통해 현재 거의 공란으로 남아있는 두 질병의 전임상 연구 파이프라인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동연구를 통해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열대성 소외질병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의 시니어 신약개발 매니저인 진 로버트 요셋(Jean-Robert Ioset) 박사는 "천연물은 항감염제 연구개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지만 아직 열대성 소외질병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면서 "이번 연구로 신규기술을 활용해 기생충의 행동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리슈마니아연구팀장 노주환 박사는 "천연물신약 개발, 초고속 대용량 스크리닝, 열대성 소외질병 신약 개발 등 각 분야의 리더가 뜻을 함께한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연구협력"이라며 "상호 보완으로 시너지를 창출하는 연구협력을 추진해 운동핵편모충류의 감염을 억제하는 천연물 기반 신규 약물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