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12.29 05:32최종 업데이트 21.12.29 05:32

제보

김윤 교수 “치명률 상승은 병원들 중환자 병상 내놓지 않은 탓…코로나 진료체계 개편해야”

중앙감염병병원 지휘하고 300병상 이상 병원 참여 필요...병원들 인력고용∙중환자 병상 제공 여력 있어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 사진=유튜브 라이브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오미크론 변이와 향후 수년간 계속될 팬데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코로나19 진료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질병관리청 총괄에 따라 공공병원 위주로 이뤄지는 코로나19 진료를 중앙감염병병원이 컨트롤 타워가 되고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까지 모두 참여토록 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28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주최로 열린 ‘지속가능한 코로나19 의료대응체계’ 토론회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치명률 상승 '병상 부족'이 원인 아냐...오미크론 변이∙수년 이어질 유행 대비 필요

김 교수는 먼저 최근 치솟고 있는 치명률의 원인은 ‘병상 부족’이 아니라 병상 동원 실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타 국가 대비 우리나라의 중환자 병상은 많은 편인데, 코로나19 환자에게 할애하는 중환자 병상 비율은 오히려 낮다는 것이다.

실제 김 교수에 따르면 주요 국가들에서 전체 중환자 병상 중 코로나 환자가 입원한 병상 비중이 최고치에 달했을 때 평균 수치가 70%에 달했지만, 우리나라는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기준으로 봐도 우리나라는 전체 중환자 병상 중 7%만 코로나 환자가 사용하고 있어 평균 35%인 다른 나라들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이 김 교수의 지적이다. 반면, 인구 1000명당 중환자실 병상수는 0.21개로 우리나라가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가 영국 대비 확진자 수가 영국의 10분의 1이 안 되는 상황임에도 비슷한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하는 이유 역시 병상 동원 실패 탓"이라고 꼬집었다.

김 교수는 “중환자 병상이 많음에도 코로나19 환자를 위해 더 적은 병상을 할애했다. 그 결과로 많은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했다”며 “정부는 병상을 동원하지 못했고, 병원들은 병상을 내놓으려 하지 않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과거 스페인 독감의 사례를 들며 코로나19가 계절독감 수준으로 전환되려면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스페인 독감은 지난 1918년에서 1919년에 걸쳐 세 차례 유행후 계절독감으로 전환됐는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이 같은 전환이 이뤄졌던 이유는 코로나에 비해 전파력이 약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스페인 독감의 경우 감염재생산지수가 약 2정도인데 반해 오미크론 변이는 10~15에 달한다.

오미크론은 위중증으로 이환되는 비율이 델타 변이 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강한 전파력 탓에 절대적인 감염자 수가 늘면 위중증 환자 수 역시 지금보다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김 교수는 “이런 점들을 감안하면 코로나 진료체계를 제대로 갖춰야 한다”며 “기존의 병상 운영체계를 효율화하고 늘어날 확진자에 대비해 병상과 인력을 탄력적으로 늘릴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윤 교수는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들은 모두 코로나 진료에 참여토록 할 것을 제안했다. 사진=김윤 교수 발표자료

중앙감염병병원 '컨트롤타워' 역할...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코로나 진료 참여

김 교수는 질병관리청 대신 중앙감염병병원이 코로나19 환자진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보건복지부는 재정∙행정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중앙감염병병원 산하에 중앙임상위원회를 확대 개편하고, 코로나 진료에 참여하는 병원들로 감염병센터협의체를 만들어 진료체계와 관련된 운영원칙을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진료체계 운영본부를 만들고 그 안에 병상, 인력, 전원을 담당하는 팀을 둬 병상의 탄력적인 확보와 입원∙전원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기자고 덧붙였다.

능력이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종합병원들을 코로나 진료에 참여토록 해야한다고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현재 공공병원 중심으로 병상과 인력을 동원하는 체계에서 코로나19 환자 진료 능력이 있는 300병상 이상의 모든 종합병원을 코로나 진료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며 “그래야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환자 급증에 대응할 수 있고, 공공병원만 동원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취약계층 진료 공백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부지원금으로 의료인력 직접 고용해야...중환자 병상도 추가 확보 가능

그는 현행 파견인력 중심의 의료인력 확충 방식도 적절치 않다고 꼬집었다. 병원들이 정부의 지원금을 활용해 의사와 간호사를 직접 고용토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 중환자 1병상 당 월 2억~3억원 정도 지원금을 정부가 주고 있다”며 “그 10%인 2000만~3000만원만 인력 고용에 써도 한 병상당 간호사 4~6명을 추가 고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병원은 코로나 이후에도 해당 인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하는 우려 때문에 직접 고용을 주저할 것”이라며 “정부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나 중환자 전담전문의 확충과 같은 제도 시행을 보장하면 병원도 안심하고 고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또한 모든 병원들이 골고루 코로나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종별로 역할을 나눌 것을 제안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최중증 환자 진료,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중증환자 진료, 지역병의원은 재택치료, 선별검사, 생활치료센터 운영 등을 담당하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이처럼 코로나 환자를 위한 병상을 늘리면 일반 중환자 진료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단 우려에 대해서도 "아직 여력이 있다"며 일축했다.

그는 “실제로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 중 중환자∙응급환자의 비중은 70% 정도”라며 “이는 2000~3000병상 추가 확보가 가능하단 의미”라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