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6.30 06:11최종 업데이트 20.06.30 10:33

제보

"피할수 없는 코로나19 2차 유행, 노인 조기감시 등 취약계층 보호 나서야"

서울의대 이종구 교수 "집단면역 생기려면 3분의 2 감염 조건, 백신·치료제도 시간 소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의 유행이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코로나19는 세계 1000만여명이 감염됐고 5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생명을 잃었다. 하지만 백신 개발과 치료제가 당장 개발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혹시라도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돼도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으로 당장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질병관리본부장을 역임했던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이종구 교수는 최근 서울의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 뉴스레터 기고를 통해 “이론적으로 이 바이러스가 가진 특성인 확대재생산지수(R0)를 고려할 때 군집면역(1-1/R0)이 60%정도 되는 시점까지는 계속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 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매개동물을 거쳐 사람으로 전파되는 경로도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장기 바이러스 보유 등에 따른 풍토병화에 대해서도 알려지지 않았다”라며 “중화항체가 잘 생기지 않거나 생겨도 일시적으로 존재한다면, 또한 변이가 일어난다면 계절성 인플루엔자처럼 매년 유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억제 정책 해제하자 재유행, 무증상 확진자에 2차 유행 가능성  

코로나19 2차 유행 가능성에 대한 이론은 무엇일까.  

이 교수는 남반부의 브라질, 멕시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행이 뒤늦게 시작되고 있는 점, 북반부의 많은 나라들은 정점을 지나고 있으나 억제 정책을 풀면서 다시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들었다. 

이 교수는 “국경이 다시 열리면 여행자들로부터 바이러스가 다시 유입되는 재유행 가능성은 타당하다”라며 “우리나라는 강력한 방역정책으로 노출을 차단하고 일단 유행을 막아 k방역이란 용어가 나올 정도로 성공했다. 하지만 오히려 인구집단의 면역 형성을 막아 재유행 가능성이 커지는 역설적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수도권 지역의 소규모 유행 지속과 함께 이들 집단발병이 대구 신천지 집단 발병처럼 5200여명의 대규모 유행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해외유입에 의한 유행과 국내 환자에 의한 재유행 가능성이라는 ‘방역의 이중 파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교수는 각 나라의 공중보건대책은 완화(mitigation)와 억제(suppression) 정책을 취하고 있다“라며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각 나라는 접촉자수(R 값)를 1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국경폐쇄, 최소한의 이동 허용, 여행 금지, 집 안에 머무르기 등의 봉쇄(shut down, lock down)정책 등을 취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공격적인 억제 정책을 취했음에도 유럽의 유행은 확대됐고 고령자의 사망률은 높아졌다. 실업과 경제적 문제로 정점을 지난 후 억제 정책을 완화해 이동제한과 국경을 다시 열기 위해 그 기준과 대안을 마련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무증상 확진자가 늘어난 점도 방역의 어려운 점이다. 미국내과학회지(Ann Intern Med)에 따르면 미국, 유럽, 일본의 16개 코호트 연구 결과에서 코로나19 확진자들의 40~50%는 검사 당시 증상이 없었다. 이 중 4개 코호트에서는 무증상 환자 중 0~10%는 나중에 증상이 발현됐다.

이 교수는 "한 개 요양기관에서는 처음에는 무증상이었던 확진자들의 89%가 나중에 증상을 보였다. 무증상 환자들에 대 한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확진자들의 다수가 무증상인 점은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의 중요한 원인"이라고 밝혔다.  

 
자료=서울의대 과학위원회 뉴스레터 

우리나라 수도권 소규모 유행 지속, 취약계층 보호부터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방역정책은 어떻게 가야 할까.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방역정책은 신속한 대응, 즉 의심 사례의 격리(quarantine), 이들의 적극적인 검사를 통한 환례 조기 발견과 격리(isolation), 진단된 환자와 밀접 접촉자에 대한 검역 격리(quarantine)을 통해 바이러스 전파를 늦추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광범위한 홍보를 통해 손씻기, 기침 예절을 수행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접촉을 줄이고 있다. 유연근무, 재택근무, 마스크 쓰기 등 ‘새로운 정상(new normal)의 방법’을 찾아 사회적 실천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 지역에서 50여 명의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추적이 쉽지 않아,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생활방역의 전환 기준이었던 2주간 일일 50명 미만, 역학적 연관성을 찾지 못하는 비율 5% 미만이라는 기준의 의미 등 현재의 대책을 재점검해야 한다. 관련 인력과 시설을 보완해 향후 유행에 대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재유행을 막을 수 있는 방안으로 군집 면역(집단 면역) 방법도 있지만 취약계층의 많은 희생이 뒤따를 수 있다고 주의를 촉구했다. 지역의 항체 양성율을 보면 시점이 차이는 있지만 뉴욕시는 19.9%, 스톡홀롬은 7.3%, 런던 거주자는 17%, 영국 전체는 5%의 항체 양성 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의 스웨덴 일부 지역은 40%, 이탈리아 일부 지역은 57%의 항체양성을 보였다.  

이 교수는 “이러한 군집 면역 획득은 그 나라 인구의 3분의 2가 감염돼야 가능한데, 감염이 진행되면서 취약계층의 많은 희생이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라며 “이들을 보호하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교수는 노인·정신 요양시설과 이용시설 등 75세 이상의 지역사회 만성질환자에 대한 조기 감시, 병원시설의 감염예방과 관리, 취약계층에 대한 일차 의료기관의 방문보건과 재택의료 사업 등의 다양한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