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최근 10년간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업무상의 사유로 632명이 부상을 입고 19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40~80명의 직원이 산업재해로 다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업무상의 사유로 발생한 부상자는 632명, 사망자는 19명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는 8월까지 45명의 직원이 산업재해로 다쳤다.
근무 중 인명사고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사망자 2명, 부상자 80명 ▲2011년 사망자 1명, 부상자 68명 ▲2012년 사망자 0명, 부상자 80명 ▲2013년 사망자 1명, 부상자 62명 ▲2014년 사망자 2명, 부상자 57명 ▲2015년 사망자 6명, 부상자 55명 ▲2016년 사망자 1명, 부상자 43명 ▲2017년 사망자 4명, 부상자 53명 ▲2018년 사망자 1명, 부상자 67명 ▲2019년 사망자 1명, 부상자 67명었다.
산업재해 발생 사유는 '끼임'이 130명으로 가장 많았고 '넘어짐' 122명, '부딪힘' 89명, '맞음' 78명, '떨어짐' 75명, '무리한 동작' 67명, '절단·베임·찔림' 39명, '감전' 26명, '교통사고' 20명, '화상' 5명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철도공단의 경우 ▲2012년 부상자 2명 ▲2013년 부상자 3명 ▲2014년 부상자 2명 ▲2015년 사망자 1명, 부상자 2명 ▲2016년 사망자 1명, 부상자 2명 ▲2017년 부상자 1명, ▲2018년 부상자 6명 ▲2019년 부상자 10명으로 집계됐다.
10년간 사망자 2명, 부상자 28명이 발생했다.
장 의원은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의 현장직원들의 산업재해 현황만 봐도 위험의 외주화라고 불리는 발주 공사현장에서는 산업재해 발생 수가 훨씬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며 "잠재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통제하고 안전한 일터 조성을 통해 일하는 사람들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