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구에서 20억원대 아파트 매매 거래 비중이 최근 4년 사이 5배 이상 는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주택 실거래 금액구간별 분포'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3일까지 강남구에서 이뤄진 주택거래 2207건 중 27.5%인 608건이 20억원 이상 30억원 미만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4채중 1채 이상이 20억원대인 셈이다. 이는 2016년 이지역 거래 6758건중 20억원대가 5%(335건)이었던 것에 비해 크게 늘어난 비중이다.
2016년만 해도 강남구 내에서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가격 구간은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46.5%)이었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이 가격대 비중은 12.3%로 줄었다. 반면 2016년 당시 5%였던 20억원대 거래 비중은 ▲2017년 8.4% ▲2018년 18.1% ▲2019년 28.2%로 급격히 늘었다. 30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 역시 2016년 1%에서 올해 8.4%로 확대됐다. 역시 강남권인 서초구의 경우 15억원 이상 20억원 미만 주택 거래 비중이 2016년 8.9%에서 올해 26%로 3배 가까이 높아졌다.
서울 전체로는 올해 전체 5만6788건 중 절반에 육박하는 2만7762건이 5억원 이상 10억원미만 거래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5억원 미만 29.4% ▲10억~15억원 13.7% ▲15억~20억원 4.7% ▲20억~30억원 2.6% ▲30억원 이상 0.7%였다.
수도권 전체로는 5억원 미만 거래가 2016년 전체 32만8192건 중 26만5684건으로 비중이 80.9%에 달했으나 올해에는 69%로 1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5억~10억원 거래는 16.3%에서 25%로, 10억~15억원 거래는 2%에서 4%로 비중이 높아졌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관련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