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국토교통부)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내년부터 12㎝급 고해상도의 항공영상(항공사진·정사영상)을 매년 촬영해 디지털 트윈국토 실현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항공사진은 항공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해 국토를 촬영한 디지털 사진이고, 정사영상은 촬영 당시 발생한 항공사진의 왜곡을 보정한 연속된 영상이다.
이번 계획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지상·지하·실내·공중 등 모든 국토를 데이터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국토를 실현하기 위해 기획됐다.
그동안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 국토에 대한 항공영상을 촬영해왔다.
항공영상은 국유재산관리시스템(기획재정부), 스마트팜맵(농림축산식품부), 국세행정시스템(국세청) 등 공공업무 지원뿐만 아니라 포털 영상지도, 관광안내도 등 일상생활에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항공영상은 2000년 이전에는 20년 주기로 흑백영상(해상도 70㎝)으로 촬영됐지만, 2000년 이후에는 4∼5년 주기로 흑백영상(해상도 40㎝), 2010년대에는 2년 주기 컬러영상(해상도 25㎝)으로 고도화됐다.
내년부터는 항공영상의 촬영주기를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한다. 디지털 트윈국토의 활용도가 높은 도시지역 항공영상 해상도를 12㎝급으로 높여 고품질의 항공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러면 맨홀과 같은 도로시설물까지도 식별이 가능해져 디지털 트윈,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국토변화 자동탐지 등 신기술과 접목해 4차 산업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촬영주기가 1년으로 단축되면 하늘에서 바라보는 국토의 변화상을 매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보존해 보다 생생한 우리나라 국토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매년 무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행정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각 기관이 별도로 추진했던 항공사진 촬영 예산 230억원도 절감할 수 있다.
사공호상 국토부 국토지리정보원장은 "향후 더 나아가 인공지능, 5G, 사물인터넷,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4차 산업기술과 접목해 건설, 항공, 물류, 국방, 안전, 에너지 등 다양한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힘쓸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