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49세 이하이면서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영리치’의 연 평균 소득은 4억원, 평균 자산은 66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상속을 통해 부를 형성한 이들의 평균 자산이 128억원으로 압도적으로 컸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원 이상)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일반 대중(금융자산 1억원 미만)을 대상으로 지난해 말 설문조사를 진행해 분석한 ‘2022 코리안 웰스 리포트’를 1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리치의 평균 총자산 규모는 66억원으로 이중 부동산이 60%, 금융자산이 40%를 차지했다.
‘금수저’ 영리치 자산 128억…평균 2배 달해영리치의 자산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 원천 1순위는 근로소득(45%)이었다. 이어 사업소득(23%), 가족으로부터의 상속 및 증여(18%), 재산소득(15%)의 순서였다. 자산형성의 방식에 따라 총자산 규모도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상속을 받은 영리치의 1인 평균 총자산은 128억원(자산 70% 이상 부동산)으로 전체 영리치 평균 자산 규모(66억원)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반면 근로소득이 중심인 영리치의 총자산은 39억원으로 상속을 받은 영리치의 3분의 1에도 못 미칠 정도였다.
영리치의 비율은 회사원이 31%, 의료·법조계 전문직이 21%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전문직 비중 21%는 49세 이하 일반 대중보다 6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영리치의 21%, 올드리치의 5%는 가상자산에도 투자했다. 변동성에 따른 시세차익과 장기적 관점의 가치 상승을 기대해서였다. 다만 대부분 1억원 미만 규모였으며 가격 변동성을 우려해 투자 규모도 그대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영리치의 47%는 예술작품이나 음원,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새로운 투자처에도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황선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올드리치가 주로 부동산을 통해 자산을 축적한 사람이라면 영리치는 대체로 아이디어로 돈을 번 사람들"이라며 "앞으로는 투자 자본이 영리치의 관심분야(NFT, 미술품, 음원 등)로 이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팬데믹 시기 부자 3분의 1은 고수익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부자들 중 3분의 1(29%) 가량이 지난 2년 간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동안 자산 규모가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부유층(22%)은 물론 일반 대중(12%)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자산 구성 비율에 적극적인 변화를 준 부자들이 그렇지 않은 부자에 비해 자산 증가 성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구성 비율에 변화가 없덨던 부자 중 자산이 10% 이상 증가하며 고수익을 거둔 비중은 22%였다. 반면 자산 구성 비율을 바꾼 부자 중 10%이상 고수익을 거둔 이들은 31%에 달했다.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부자가 긍정적인 결과를 거둔 셈이다.
고수익을 거둔 부자들의 자산 증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자산은 부동산이었다. 절반이 넘는 57%가 부동산을 첫 손에 꼽은 것이다. 이어 주식 직접 투자(16%)를 언급했다.
한편 부자들은 향후 증시 전망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으로 봤다. 완만하게 하락(26%), 빠르게 하락(4%) 등 하락장을 예상한 비율이 30%에 달한 반면, 대중 부유층과 일반 대중은 하락장이 올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각각 19%, 21%에 그쳤다. 경기 전망에 낙관적이지 않은 만큼 당분간 자산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이들이 절반 이상이었다.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부자는 19%, 자산 구성은 유지하겠지만 투자 내용은 바꾸겠다고 응답한 부자는 15%로 집계됐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