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3.08 10:36

韓 비우호국 지정에 당장 영향 없지만…현지 사업 지연 우려 커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러시아가 한국을 비우호국가로 지정하면서 현지에 진출해있는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의 이번 결정으로 당장 손실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러시아의 제재 수위에 따라 사업 추진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러시아 발틱 콤플렉스 프로젝트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수주금액은 약 1조6000억원규모로 DL이앤씨는 설계와 기자재 조달을 담당한다. 앞서 DL이앤씨는 지난해 3월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와 프로젝트(3271억원)도 수주했다. 현대엔지니어링, 삼성엔지니어링도 각각 오랜부르그 가스처리시설(1000억원), 발틱 에탄크래커(1조3722억원) 사업을 맡아 진행 중이다.
모두 지난해 수주한 프로젝트들로 아직 공사가 본격화하거나 사업 진행이 초기단계라는 점에서 비우호국가 지정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루블화 가치 하락에 따른 대금 손실 부분은 각 기업들이 어떤 화폐로 계약을 맺었느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 통상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와 계약을 맺으면 달러로, 유럽 국가와는 유로화로 결제를 체결한다.지난해 말 발틱 콤플렉스 프로젝트를 수주한 DL이앤씨의 경우 유로화 계약을 맺었다.
다만 러시아 제재 내용과 기간에 따라 사업 지연이 우려된다. A건설사 관계자는 "사업이 초기 단계이고 공사의 설계와 조달을 맡고 있어 본사에서 하는 작업이 많다"며 "다만 이번 제재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면 사업 진행 내용에 따라 돈을 받는 구조상 기대한만큼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현지 진출 기업들이 자체 대응을 하기 어렵다는 점도 애로사항이다. 미국 등 서방의 경제 제재로 인해 발생하는 경영상 어려움에 대해 대놓고 입장을 표명하기도 대응책을 내놓기도 난감한 분위기라는 것이다.
B건설사 관계자는 "러시아에서 사업하기 어렵다고 토로하기도 눈치보이는 상황"이라며 "현재로선 기업의 목소리를 내기 보다 정부의 방침에 따라 대응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날 정부는 우리기업과 현지 교민, 유학생 등의 대러 결제 애로 해소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