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정부가 논산·익산·전주 지역에 3년간 총 5000억원을 투자해 800여명의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충남 논산시, 전북 익산시, 전주시 등 3개 지역에서 노·사·민·정 대표가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노·사·민·정의 대타협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앞서 정부는 2019년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을 발표한 후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을 개정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같은 해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밀양, 대구, 구미, 횡성 등으로 확대해 이날 기준 전국 총 12건의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논산·익산 농산물 공급…도농복합 사업모델논산과 익산은 지역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식품제조사에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제조사는 공급 받은 농산물을 현지 가공, 판매하는 도농복합형 사업모델을 구축한다.
논산형 일자리는 CJ제일제당, hy(한국야쿠르트), 한미식품 등 7개사, 지역농업기업 등 총 11개 기업이 참여했다. 냉동건조식품, 가공계란, 밀키트, 발효 유제품 등이 주요 생산 품목이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 3년 간 1776억원을 투자해 355명을 직접 고용할 예정이다. 참여기업은 지역인재를 우선 채용하고, 지역 대학·교육기관들은 기업들의 수요를 고려해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향후 5년 간 5336억원 규모다. 식품기업들은 농가와 협력해 농작물 원·부자재의 역내 구매하고 품질기준 향상은 물론 판매 확대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논산시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임금 이상의 적정 임금은 물론 근로복지 증진을 위한 공동근로복지기금 4억6000만원도 조성할 방침이다.
익산형 일자리는 하림푸드, HS푸드 등이 참여한다. 3년 간(2022년1월~2024년12월) 총 2000억원을 투자해 230명을 신규 고용할 예정이다. '다년 계약재배시스템'을 도입해 지역농산물 비중을 30%에서 60%까지 확대한다. 또 '수급안정협의회'를 통해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과 농가에 대한 생산비용 이상의 소득을 보장하는 방안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익산형 일자리 사업을 통한 파급효과는 향후 5년 기준 매출 3313억원, 부가가치 2423억원을 포함해 총 5736억원 규모다. 총고용유발효과는 2183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전주 탄소소재 산업 일관 공급 체계 구축전주는 탄소소재 제조, 중간재 가공, 항공기 부품 제조 등 일관 공급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투자업체는 효성첨단소재, 데크카본, KGF 등이다.
효성첨단소재는 중소기업들의 신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탄소섬유을 공급하고 기술 지원에 나선다. 또 인증, 제품 전시회, 마케팅 등도 돕는다. 중소기업들은 원·부자재 공동구매, 공동 R&D 및 협동 공장 운영 방안 등을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기업들은 생산공장에서 발생하는 대기·환경 오염 물질 배출을 고려해 환경폐기물 공동처리, 생산과정의 환경정보 공개 등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 3년 간 총 1375억원을 투자해 토지 매입 등을 추진해 277명을 신규 고용할 예정이다. 주요 생산 품목은 탄소섬유, 항공기 부품, 탄소복합재(프리프레그·토우프레그) 등이다. 향후 5년 간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9438억원, 총고용유발효과는 1847명으로 전망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지역 노·사·민·정과 소통하고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소해 논산·익산·전주를 비롯한 전국의 상생형 지역일자리가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