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뒷담화2-공공병원 존재이유
"이런 상황은 좀 아이러니하지 않습니까?"
메르스 감염자와 노출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던 6월 10일, 당시 최경환 총리 대행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메르스치료병원과 노출자진료병원을 지역별로 지정하고 발표한다. 여기에 포함된 33개의 의료기관 중 약 80%는 공공병원이었다. <출처 : 연합뉴스> 이 발표 전부터 서울보라매병원은 메르스 환자에 착실하게 대비하고 있었다. "2009년도 핵심간부들이 6년 뒤인 지금도 간부를 맡고 계시죠. 그래서 생각보다 쉽게 대응을 한 면도 있고요." 서울보라매병원의 김병관 기획조절실장은 묵묵하게 발표를 시작했다. 2009년 신종플루 유행을 경험했던 대책위원장과 부원장은 지금까지 병원에 근무 중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축적된 경험은 시행착오를 줄여줬다. 방송을 통해 알게 된 집중치료기관 선정 다시 6월 10일로 돌아가 보자. 당시 누적 감염 확진자가 122명, 격리대상자는 4,000명에 가까워지던 시기. 이날 최경환 총리대행의 발표 전까지 보라매병원은 음압병실 5개를 모두 1인실로 바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