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테넬리아 전환요법시 평균 당화혈색소 0.44% 추가 감소
DPP-4 억제제 최소 12주 복용에도 목표 혈당 미도달 제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연구
[메디게이트뉴스 권미란 기자] 한독이 지난 4일 제31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심포지엄을 열고 테넬리아(성분명 테네리글립틴) 전환요법 시 추가 혈당 강화 효과에 대한 관찰연구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박성우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아주의대 내분비내과 김혜진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다. 이번에 발표된 '테넬리아 전환요법에 대한 관찰연구'는 총 52주 동안 국내 약 200개의 연구기관에서 제 2형 당뇨병으로 치료 중인 환자 188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리나글립틴, 삭사글립틴, 알로글립틴, 제미글립틴 등 DPP-4 억제제를 최소 12주 동안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목표 혈당(HbA1c 7.0 미만)에 도달하지 못한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복용 중인 DPP-4 억제제를 테네리글립틴으로 전환하였을 때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했다. 이번 연구의 중간 분석 결과, 기존 DPP-4 억제제를 테네리글립틴으로 전환해 12주 동안